조선시대 왕족들도 과거를 보고 관직에 나갔나요?
드라마를 보면 조선시대의 왕족들도 종종 관직에 있더군요. 그런데 일반으로 관직에 나가려면 과거 시험을 봐야 했는데 왕족도 동일했나요?
왕족은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도 관직에 나갈 수 있었습니다. 이를 '음서제'라고 합니다. 음서제는 왕족이나 양반 등의 신분 계층에게 혜택을 주는 제도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족들은 과거를 보지 않고 관직에 나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는 왕족들이 일반 백성들과는 다른 신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의 신분제는 크게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분되며, 왕족은 양반 중에서도 가장 높은 위치에 있었습니다. 왕족들은 주로 왕의 명령에 따라 관직에 임명되거나, 왕의 추천을 받아 관직에 나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 고려 -조선 초까지 왕족들도 다른 신하들처럼 일반관직에 나갔으나 조선 성종 때의 구성군 사건 이후 종친사환금지법이 생기며 왕으로부터 5촌까지는 명예직 외에 관직은 하지 못했습니다.
조선의 경우 중기 이후 경국대전의 종친사환금지법에 따라 왕족은 과거를 볼수 없고, 실권직도 받지 못했으므로 벼슬길에 오르더라도 명예직이나 한직으로, 청요직이나 당상관, 정승에 오를수 없으며 5대 이상 지나야 종친에서 벗어나 과거를 볼수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원래 신라-고려-조선 초까지는 왕족들도 다른 신하들처럼 일반 관직에 나갔으나, 조선 성종 때의 구성군 사건 이후 '종친사환금지법'이 생기며 왕으로부터 5촌까지는 명예직 외의 관직은 하지 못하게 되고, 왕실에서 주는 봉록으로 먹고 살게 되었다. 고려의 경우는 왕족들의 힘이 가장 약했는데, 초기는 제법 강했으나, 이후 절간에 승려가 된다든가, 반란군의 얼굴마담이 된다든가, 원나라에 사신으로만 간다든가, 볼모로 잡히는 신세가 되기도 했다. 특히나 대령후 사건의 경우는, 문벌귀족이 비대해짐에 따라 왕족의 권위가 얼마나 추락했는지 여실하게 보여준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로 인해 의종 시기를 거쳐 무신정권 때는 왕족의 권위가 더욱 바닥으로 추락했다. 왕의 권위가 실추됨과 동시에 왕족들의 권한도 덤으로 실추될 수밖에 없었다.
조선의 경우, 중기 이후에는 경국대전의 종친사환금지법에 따라, 왕족은 과거를 볼수 없고, 실권직도 받지 못했다. 벼슬길에 오르더라도 명예직이나 한직으로, 청요직이나 당상관, 정승에 오를 수 없었으며, 5대 이상 지나야 종친에서 벗어나 과거를 볼 수 있었다. 조선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왕족도 정치인이나 공무원이나 하원의원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는데, 되고 싶다면 신적강하나 후계권 내지는 왕족 포기나 평민이 되어야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왕족들은 예술가, 군인, 성직자가 되거나 학자가 되는 길을 걷는게 다반사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이 아닌 왕족들은 과거를 볼 수 없었고 벼슬길에 오르더라도 명예직이나 한직으로, 청요직이나 당상관, 정승에 오를 수 없었으며, 5대 이상 지나야 종친에서 벗어나 과거를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 초에 2차례의 왕자의 난을 경험한 조선에서는 그 만큼 왕족이 정치에 관여 하는 것을 특히 경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