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에서의 커뮤니티 케어 모델이 실제 효과가 있나요?
최근에는 지역사회마다 고령화 대책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지역사회복지에서 ‘커뮤니티 케어’ 모델이 고령자 돌봄에 미치는 실제 효과는 어떤 방식으로 평가되나요?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지역사회는 돌봄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커뮤니티 케어’ 모델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데요, 이 모델의 실제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고령친화도시 평가지표 활용, 계층분석법(AHP)을 통한 전문가 평가, 리빙랩 기반 실증 테스트, 리빙랩 기반 실증 테스트, 국내외 성공 사례 비교 분석 등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지역사회복지 커뮤니티 케어 모델은 고령자,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보건, 돌봄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지역 주도형 복지 정책 입니다.
이러한 커뮤니티 케어 모델은 지역사회 중심으로 통합적 돌봄과 자립지원, 복지자원 연계강화를 통해 돌봄 대상자와
가족, 지역사회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커뮤니티 케어 모델은 어르신들이 자신이 살던 지역에서 존엄하게 노후를 보내도록 돕는 Aging in Place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제가 면접을 보러갔을 때 면접관이 호스피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호스피스는 존엄한 임종을 맞이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정도 관련성이 있습니다. 커뮤니티 케어 모델의 효과 평가 방식을 보면 고령친화도시 평가지표를 개발해서 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사회에 맞춘 7대 영역, 37개 세부 지표가 개발됩니다. 경제, 일자리는 고령자의 경제적 자립과 지역사회 참여, 가족 사회관계 사회적 고립예방, 세대간 교류, 복지 의료는 개인 맞춤형 통합 서비스 제공입니다.
계층분석법 AHP를 통한 전문가 평가는 각 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해서 가중치를 부여하고요. 복지, 의료 분야 경제 일자리 분야 가족사회관계 분야로 핵심 요인을 도출합니다. 국내외 성공 사례를 보면 호주의 Men's Shed, 일본의 미나미의료생협, 대한민국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등이 주민주도형 모델로 분석해서 실질적 효과를 검증했다고 합니다. 이들 조직은 경제적 자립, 사회적 관계망 유지, 통합 복지, 의료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역별로 보면 충청북도 등에서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시범사업을 통해 사례관리 중심의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고 전문가 FGI를 통해 현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실제로 영향을 준다는 논문들도 많습니다. 결국 고령화 노인분들에게 커뮤니티는 꼭 필요한 불가결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