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가상화폐로 실제 생활에서 더 나아진 게 무엇인가요?
몇 년 전부터 가상화폐가 활성화되면 전 세계의 경제를 포함한 생활이 많이 바뀔 것으로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있지만 그래서 사람들이 가상화폐를 투자 목적으로 사들이고는 있지만 우리 실제 생활이 가상화폐 이전과 비교하여 무엇이 더 달라지고 나아진 사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가 단순 투자 자산을 넘어서 국경 없는 송금, 결제, 금융 시스템 개선, 디지털 자산 시장 확대 등에 기여하면서 실생활에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음. 하지만 아직 변동성이 크고, 규제 이슈가 남아 있어 완전히 정착했다고 보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겠지요 연계된 부분으로 일자리는 생겼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까지 가상화폐로 인해서 실제 생활에서 더 나아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상화폐 자체가 생활에 영향을 미치진 않게 되었지만
그 기술인 블록체인은 실제 생활에도 사용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가상화폐 자체로는 투자의 방법의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는
의미가 있다고 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상화폐로 실제 생활에 나아진 부분은 없는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가상화폐로 일상생활에서 결제가 가능하다면 좀 나아지는 부분이 있을거도 같은데요
우리나라는 가상화폐를 금융자산으로 인정하지 않아서 일상생활에서 가상화폐로 결제가 불가능 하니 사실 실생활에 가상화폐를 이용해서 편해지는 부분은 없는거 같단 생각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생활측면에서 가상화폐가 특별히 나아진게 없습니다. 비트코인이 처음의 목적이 중앙은행의 통화를 통제하고 스스로 유동성을 조절하는것에 대해서 회의를 느끼고 이에 대한 측면으로 나오긴 했지만 코로나 이후 현재에 들어선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주요 가상자산들이 화폐나 실생활의 기능이 아니라 대체자산이나 자산증식 측면으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대체자산의 성격으로 완전히 변모하였으며 주요 가상자산 코인들의 생태계를 보면 디파이 즉 탈중앙화 금융기능인 스테이킹이나 리스테이킹 LP와 같은 유동성공급과 같은 형태로 발전해 있으며 웹3 생태계중 M2E형태의 걷기나 달리기를 통해서 얻거나 P2E와 같은 게임을 통해서 코인을 채굴하는 형태인데 이것도 결국 자산증식목적으로 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최근의 부각되고 있는 RWA 토큰형태도 결국 실물 증권이나 실무자산을 토큰화 하는 형태 즉 온도파이낸스가 미국의 주요 금융사와 협업하여 해당 증권상품을 RWA 토큰형태로 투자하는등 결국 현재는 이런 자산증식에 초점이 맞춰져있지 실물생활에 실제적으로 협업하거나 대중화된것은 전무합니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개발도상국이나 마약와 같은 음지거래에서 달러대체용도로 스테이블코인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지금은 대체자산 즉 자산증식목적으로 가치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서 수급이 증가하고 가격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가상화폐가 세상에 알려진 이후 우리 실생활을 편리하게 하거나 실제로 유용하게 사용된 사례는 없는 것 같습니다. 가능성만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을 뿐이죠. 하지만 사람들이 금값이 계속 오르니 금을 안전자산으로 생각해 실생활에 사용하지도 않을 골드바를 사들이는 것처럼 비트코인 또한 투자 목적으로서는 디지털 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금융권에서 정식 자산으로 인정되고 etf 승인 받은것만 봐도 그렇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