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언제나환영받는코알라
언제나환영받는코알라

인지질 PLA2 탄소2번 위치?????

찾아보니까 2번 탄소에 붙은 아라키돈산을 잘라낸다는데 인지질의 화학식을 보니까 1번탄소는 포화지방산 2번탄소는 불포화지방산 3번탄소는 머리쪽 글리세롤에 붙어있다는데 이게 c-c-c 왼쪽부터 1번순으로 중간 2번이 밑에 소수성 불포화지방산에 붙어있다는건가요? 만약 잘라낸다는건 이 다리를 잘라낸다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인지질 분자의 기본골격은 글리세롤인 -C-C-C- 결합입니다.

    보통 sn-1, sn-2, sn-3 위치라고 부르게됩니다.
    sn-1위치(C1)은 주로 포화지방산이 에스터결합을하고
    sn-2위치(C2)는 불포화지방산, 대표적으로 아라키돈산이 에스터 결합을 합니다.
    sn-3위치(C3)은 인산기, 극성머리가 결합합니다.

    PLA2는 여기있는 sn-2의 위치 에스터결합을 끊어서 지방산을 분리시켜냅니다.

    즉, 다리를잘라낸다는 표현이 맞고, 가운데에 붙은 긴 지방산 사슬이 잘려나가는 형태이기때문입니다.
    남은 인지질은 라이소인지질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인지질은 글리세롤을 뼈대로 하는 구조가 가장 흔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이 글리세롤의 탄소 원자에 붙은 위치를 sn-1, sn-2, sn-3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보퉁 글리세로인지질의 뼈대인 글리세롤은 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탄소에 붙은 작용기에 따라 위치가 정해집니다.

    sn-1 위치는 주로 포화 지방산이 에스터 결합으로 붙어 있습니다.

    sn-2 위치는 주로 불포화 지방산이 에스터 결합으로 붙어 있는데, 아라키돈산과 같은 긴 사슬의 불포화 지방산이 이 위치에 흔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sn-3 위치는 인산기와 머리 그룹이 붙어 있어 친수성 머리 부분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PLA2는 인지질을 분해하는 효소 중 하나입니다.

    PLA2 는 인지질 분자의 sn-2 위치에 붙어 있는 지방산을 특이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잘라내는데, 이 때 '잘라낸다'의 의미는 PLA2가 sn-2 위치의 지방산과 글리세롤 뼈대 사이의 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끊어낸다는 의미입니다.

  • 인지질의 글리세롤 골격에서 탄소는 입체특이적 번호 체계에 따라 1번, 2번, 3번으로 순서가 정해지며, 2번 탄소는 글리세롤의 중앙에 위치한 탄소를 지칭합니다. 일반적으로 1번 탄소에는 포화지방산이, 2번 탄소에는 불포화지방산이 에스터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3번 탄소에는 인산기를 포함하는 친수성 머리 부분이 결합합니다. 인지질분해효소 A2(PLA2)는 바로 이 2번 위치의 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불포화지방산, 예를 들어 아라키돈산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므로 잘라낸다는 것은 물리적인 절단이 아니라, 글리세롤의 2번 탄소와 지방산 사이의 화학 결합을 끊어 분자를 분리시키는 화학적 과정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인지질의 글리세롤뼈대는 sn-1, sn-2, sn-3위치로 구분하는데, 보통 sn-1에는 포화지방산, sn-2에는불포화지방산, sn-3에는 인산기에 머리그룹이 붙게됩니다.

    PLA_2는 이중 sn-2위치의 에스터결합을 끊어내서 글리세롤뼈대와 불포화지방산을 분리시키게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