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제로 할 경우와그로스제로 할 경우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네트제와 그로스제로 할 경우
각각 근로자가 받는 금액이 아래와 같이 되는게 맞나요?
예시:
연봉 3천만원
공제 전 월급
세전 250만원
위와 같을 때
1. 네트제의 경우
250만원 전액을 근로자에게 줌
맞나요?
2. 그로스제의 경우
250만원 - 사대보험 등 공제항목=세후 220만원이 넘는 금액을 근로자에게 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네트제는 잘못된 관행이고 250만원을 근로자에게 준다면 이를 역산한 금액이 실제 세전금액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근로소득세와 4대보험료를 모두 사업주가 부담하는 형태의 네트제 계야글 체결한 경우에는 250만원을 근로자가 수령하게 됩니다.
그로스제의 경우 250만원에서 근로소득세와 4대보험료를 공제한 금액이 지급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네트제는 근로자 통장에 들어오는 실수령액이 250만원을 의미하며
그로스의 경우 세전 250만원에서 4대보험 등을 공제하고 실수령액이 들어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250만원을 지급하기로 네트제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250만원을 실지급하면 되며, 실수령액인 250만원에 대한 세전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신고를 해야하고, 각종 수당, 퇴직금의 경우 250만원에 대한 세전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합니다.
2. 세금도 공제하여 지급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성균 노무사입니다.
말씀해주신 네트제는 4대보험이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네트제 월 250만원이면 세전기준 대략 280만원 부근(세후 250이 나오는 세전금액을 계산해야 함)으로 세전 월급여액이 책정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