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붉은안경곰135
붉은안경곰135

영리활동을 하지 않는데도 사회복지사의 업무강도가 높다고하는이유는?

영리기업에서야 당연히 사장이 월급을 주기 때문에 주는 월급보다 더 큰 이익을 내도록 직원을 쥐어짜게 되어있는데, 사회복지사는 영리를 내도록 고객의 비위를 맞출 필요도 없고 숨가쁘게 마음조리며 폐업하지 않기 위해 경쟁해야하는것도 아닌데 뭐때문에 업무강도가 높다고 하는건가요? 좋은 일 하며 비영리이기때문에 직장분위기도좋고 여유있을 거 같은데.

클라이언트의 폭언 같은 거 말고 어떤 것이 업무강도가 높다고 하는건가요? 가령 시청에서 어느 시기까지 엄청난 양의 보고서를 제출하라고 하나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영리활동을 하지 않더라도 사회복지사 업무 강도가 높을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복잡한 사례관리, 행정업무와 보고서 작성, 자원 부족과 인력 과소, 감정적 소진, 불확실성 책임감

    하지만 정부 지원금 중심 운영, 민원과 외부 평가, 사명감과 현실의 괴리 등으로 인해서

    비영리라고 해서 여유롭지만은 않은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자사의 업무 강도는 복잡한 사례관리, 행정부담, 감정적 소진, 구조적 자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2명 평가
  • 글쎄요~~ 누가 사회복지 업무강도가 높다고 그러나요?

    일반 회사보다 절대로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업보다 급여는 적을 수 있지만..

    사회복지 업무에 비해 급여도 그렇게 적은 것도 아닙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사회복지사의 업무 강도가 높은 주된 이유는 감정노동, 낮은 보수, 과도한 행정업무, 불안정한 고용 그리고 복합적인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 입니다.

    즉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빚어지는 감정이 소모가 크기 때문과 타 직종에 비해 턱없이 낮은 보수로 고용이 불안정 하기 때문과 그리고 실적 중심의 평가로 인해 업무 강도가 높아서 사회복지 업무의 강도는 세다 라고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승용 사회복지사입니다.

    일단 요즘 사회복지 관련 강도가 높은건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의 민원강도와 함께 복지가 좋지않아서 그렇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기업은 영리를 통해서 이윤을 추구할 수 있어서 수익적 측면에서 보면 기업 차원에서 복지라든지 업무에 대한 유연성을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 어느 정도 있습니다.하지만 사회복지의 경우에는 정부보조금이나 지자체 지원금 혹은 시민단체의 회원들이 내는 회비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각종 지침, 평가기준, 회계 규정 등을 철저히 지켜야 하고 정기적으로 감사와 평가를 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보고서와 증빙자료 작성은 상당한 부담이 됩니다. 그리고 사회복지는 클라이언트뿐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후원자, 행정기관 등 여러 이해관계자와 동시에 소통도 필요합니다. 요구사항이 서로 충돌할 때 이를 조율하는 과정이 업무 강도를 높이는데 기관내 전화를 잠시 자리를 비우다가도 휴대폰으로 돌려놓기도 하는 곳도 봤습니다. 그 정도로 업무가 많습니다.

    그리고 비영리더라도 상위 기관에서 요구하는 성과지표라는 것을 충족해야 예산을 투여해서 지원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좋은 일만으로는 안되고 서비스 이용자수, 프로그램 참여율 등을 증빙해야 합니다. 도서관을 예로 들었을 때 이용률이 적은 경우에 자율학습실 하나를 폐쇄하고 통폐합하는 것처럼 복지관 역시 이용률이 저조할 경우에 통폐합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기존 부서에서 하던 업무까지 떠 안을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상황은 돌발적이고 긴급한 경우가 많구요. 계획된 업무외에 갑작스러운 상화도 대응해야 해서 항상 긴장 상태가 유지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