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산구 수치가 높게 나왔는데 위험한걸까요?
안녕하세요 지인이 호산구 수치가 높게나와, 너무 걱정되어 대신 질문 작성합니다. (남성 / 24살 입니다.)
1) 먼저 몇주 전부터 소화불량, 복통, 가스차서 배아픈 느낌, 명치쪽 속쓰림, 위액 넘어오는 느낌(역류성 식도염과 같이), 가끔 설사, 밥먹으면 복통 등등 << 이런 소화 관련된 안좋은 증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병원에가서 일단 소화 관련 약 처방을 받았었고요.
2) 며칠 약을 먹었는데도 호전되지 않아, 병원에가서 위내시경 / 초음파 / 피검사 이렇게 3가지 검사를 하였습니다. 위내시경과 초음파 검사는 정상으로 나왔으나, 피검사 결과에서 "호산구" 수치가 많이 높게 나왔다고 하네요.
호산구 수치 높음과 관련된 것을 많이 찾아보니, 기생충 감염 / 염증 / 알레르기 와 같은 이유가 주된 이유더라고요. 제 제인은 알러지는 조금 있으나 애초에 알러지 유발 음식은 손도 안대고 알러지 반응이 평소에 일어난 적도 없습니다. 또한 비염 알러지도 있긴하지만 봄철에나 좀 심하지 최근에는 증상 없었고요.. 의사 선생님말씀으로는 기생충에 감염 됐을 수 있다고 하시길래 구충제 복용했다고 하더라구요..
1월에 다시 피검사 하기로 하였는데, 그때도 계속 수치가 여전히 높으면 많이 위험한 상황인걸까요? 다른 원인들 찾아보니 큰 병들도 많길래 너무 겁이납니다.. 1월에 검사했는데 호전되면 좀 안심해도 되는거겠죠? 그리고 만약 계속 수치가 높으면 어디에서 어떻게 정확히 검사를 해봐야할까요? 그리고 계속 수치가 높으면 많이 위험할까요?
+ 기생충 감염시 소화불량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는 얘기가 있던데, "기생충 감염> 처음에 있었던 소화불량 증상> 검사해보니 호산구 수치 높음" 이럴 확률도 있을까요..?
너무 걱정이 되어 질문드립니다. 꼭 꼼꼼하게 읽어주시고 답변 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호산구 수치가 얼마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많이 높은게 맞다면, 말씀대로 기생충여부를 확인해보고, 기생충관련 혈액검사는 따로 안해보신 걸까요? (기생충 관련 혈액검사 정도는 고려해볼 수 있겠네요)
천식이나, 기타 피부알레르기 질환 등등이 있을때도 높을 수 있긴 합니다.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호산구 수치 높은 정도로 별로 걱정하지는 않고,, 그냥 혈액검사 할때 수치 확인정도만 하긴 합니다.
큰 병과 연관된 경우는 적어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고 기생충 혈액검사 고려해보시고, 추적관찰해서 호전여부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