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매끈한어치121
매끈한어치12123.04.26

연차 문의드립니다. 회계연도 기준입니다.

회계연도 기준 연차 문의드립니다.

23년 5월25일에 퇴사 예정입니다.

연차수당을 주지 않아서 연차를 모두 사용하고 퇴사할려고 합니다.

입사는 21년4월26일 ~ 22년4월25일(현 회사 파견직으로 근무)

22년4월26~현재 정규직으로 근무중입니다.


그리고 22년도 12월에 연봉협상을 했었습니다.


현재 회사에서 23년도 연차를 9개로 설정이 되어있었습니다.

연차 (-6일 x 8시간=-48시간) 입사년 재직일 (220/365)*15



아래는 연차 사용내역입니다.

22/4/26 ~ 22/12/31 파견직으로 근무할때 연차 계산을 잘못해서 추가로 1개 더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정규직으로 바뀌고 나서 연차를 7개 받았고 그중에 5개 사용했습니다.

23/1/1 ~ 현재 연차 6개 사용했습니다.


네이버 검색해서 회계연도 기준으로 정리해보긴 했는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21/4/26 ~ 22/4/25 연차 모두 사용

22/4/26 ~ 22/12/31 7개중에 5개 사용

23/1/1 ~ 23/4/25 4개중에 6개 사용

23/1/1 ~ 23/12/31 9개가 발생하는게 맞을까요?

23년4월26일이후 바로 남은연차가 9개 되는게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회계연도 기준 연차휴가 산정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1년 미만 기간 : 매 개근한 1개월 마다 1일씩 총 11일

    2)입사 1년차 회계연도 말일 : 15*근속일수/365일

    3)1년 만근 시 15일

    4)1년을 초과한 매2년마다 1일씩 가산

    퇴사 시에는 입사일 기준과 회계연도 기준 중 더 많은 일자로 연차휴가를 정산하며, 입사일 기준으로 재정산한다는 규정이 있는 경우 이에 따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파견직과 정규직은 사용자가 다르므로 계속근로기간 단절로 보아야하며,

    정규직기간 산정시 새로산입 될 것입니다.

    22/4/26 ~ 22/12/31 7개중에 5개 사용

    23/1/1 ~ 23/4/25 4개중에 6개 사용

    23/1/1 ~ 23/12/31 9개가 발생하는게 맞을까요?

    위 기간산정이 적절합니다.

    23년 5월25일 퇴사라면

    퇴사시점 기준 입사일기준이 회계연도보다 유리하므로

    회계연도 기준 9개를 부여한 것에 6개추가지급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