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중국의 무역 금액은 얼마나 되는건가요??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무역(수출, 수입)의 금액은 얼마나 되는건가요??중국과의 사이가 안좋아지면 수입절차가 까다로워지던데, 그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 입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한국과 중국은 가장 큰 무역파트너에 해당합니다. 약 교역규모는 3,104억 달러에 해당합니다.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지면 수입 절차가 복잡해지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정치적인 이유로는 양국 간의 긴장으로 중국 정부가 수입 규제를 강화하거나 통관 절차를 늦출 수 있습니다 이는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 약화나 물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이유로도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지면 수입 절차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중국 내 수요 감소나 가격 하락으로 중국 기업들이 수입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거나 세제 혜택을 줄이면 수입 절차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질 경우 수입 절차가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무역 상대방과의 협상과 계약 체결시 관세율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중국 외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수출 다변화를 모색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수출은 전년 대비 21.1% 증가한 79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은 8.6% 증가한 518억 달러로, 이로써 274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작년에 한중 관계 개선에 따른 양국 간 협의 발표와 한중 정상회담 이후로 중국으로의 대중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과 중국의 무역규모는 2023년 기준 약 3,015억 달러로 확인되며 한국의 전체 무역 규모 중에서는 약 2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 중에서 한국의 대 중국 수출액은 약 1,456억 달러로 수입액은 약 1,550달러이므로 약 85달러 상당의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중국과의 외교 관계가 나빠지는 경우 수입절차가 까다로워지는 이유는 중국 세관에서 정치적인 이유로 한국에서 수입되는 물품에 대하여 통관 심사를 강화하여 통관이 지연될 수 있으며, 식품이나 의약품 등 요건이 까다로운 제품에 대해서 검역을 강화하여 수입을 제한 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최악으로 다다르는 경우에는 특정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여 관세를 많이 부과하므로써 가격경쟁력을 중국에서 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같은 이유 때문이라도 중국과의 외교관계는 긍정적으로 좋은 상황으로 다시 돌리기 위해 정부는 노력해야 할 것이고 이를 위해 양국 간의 협력과 소통이 중요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 한국과 중국의 총 무역거래액은 약 3천 6천억 달러로 한국의 중국수출금액은 약 1천 9천억 달러이며, 수입은 약 1천 7천억 달러에 해당합니다.
한국의 대 중국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의 호황으로 증가했고, 수입은 기계, 전자, 플라스틱 등의 증가로 인해 상승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인해 양국 간 정치적 갈등과 경제적 보복에 따른 무역장벽이 있기도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약 124,817,682,000 달러, 수입은 142,857,338 ,000달러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하여는 무역 적자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중국의 경우 수입 시에 여러가지 규제를 통하여 한국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수입검사강화 수입규제 추가 등이 있으며 특히 한국물품에 대하여 검사를 강화하고자 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외교적 관계로 인하여 이에 대하여 섣불리 제재하기 어려운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2023년 중국으로 123,817,682(천불)을 수출하였으며 142,857,338(천불)을 수입하여 18,039,656(천불)의 무역적자가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중국으로 수출하여 막대한 무역흑자를 누렸지만 중국의 산업발전 등으로 인하여 경합이 발생하는 등 과거와 같이 막대한 흑자를 누리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적자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특히, 중국은 사드보복으로 통관을 굉장히 까다롭게 하여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이 애를 먹었던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막대한 흑자를 누린다고 해서 까다로워지기 보다 특정 정치적인 이슈가 있을때 이런 상황이 부각되는거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와 중국간의 교역액은 한국무역협회 k-stat 정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stat.kita.net/stat/kts/ctr/CtrTotalImpExpList.screen
중국간의 정치적 상황이 안좋아지는 경우 단순히 수입요건이 까다로워지는 것을 떠나서 중국의 정책에 따라 아예 수출입이 제한되는 등 직접적인 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중국의 수출입의존도를 줄이고 다국가 수출정책 또는 공급망 다변화 정책 등을 펼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4년 3월 기준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액은 10,518백만달러이며, 수출비중은 2위입니다.
수입액은 11,399백만달러로 수입비중은 1위입니다.
한중 관계가 안좋아지면 그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수출입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