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심심한호랑이161
심심한호랑이16123.04.22

현재 우리나라 무역 수지가 어떤상태인가요?

현자 우리나라 무역 수지는 어떤 상태인지?

교역국이 미국 중국이 가장 클텐데 환율과 중국 봉쇄정책으로 많이 안 좋을거 같은데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1. 무역수지란?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생기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크면 무역수지 흑자라고 하며, 반대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경우 무역수지 적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70원이라면 30원의 무역수지 흑자가 났다고 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가 수입한 금액이 120원이라면 20원의 무역수지 적자가 났다고 표현합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경우 본선 인도 가격(FOB), 수입은 운임·보험료 포함 가격(CIF)으로 계산합니다.

    무역수지는 매월 관세청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2. 우리나라 무역수지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연간 무역적자 규모가 472억 달러에 달하며, 지난해 4월부터 1년 넘게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3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했으며, 4월에도 4월 1~20일 무역수지가 41억달러(5조4000억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4개월 무역적자를 기록할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이며, 4개월 채 되지 않아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폭(478억달러)의 절반을 넘어설 정도로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커지고 있어 상황이 심각한 편입니다.

    3. 원인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수입 급증으로,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원유, 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금액이 1908억 달러인데, 이는 2021년 대비 784억 달러 증가한 수치로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지난해 초 러-우 전쟁등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여 높은 가격에 에너지를 수입하다 보니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하였고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수출이 둔화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황이 둔화됨에 따라 반도체 수출이 감소한 것이 수출 감소에 큰 원인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의 경우 2023년 1분기 적자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사이트 링크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stat.kita.net/ (국내통계 > 수출입 총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경우 현재 작년부터 적자인 상태입니다. 이러한 무역수지는 환율보다는 경기침체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수입원가는 상승, 수출물량은 하락으로 인하여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말씀하신대로 중국의 봉쇄정책이 풀리면 어느정도 완화를 기대하였지만 중국의 내수 및 기술성장으로 중간재에 대한 수입수요가 늘지 않고 있는 것도 수출량 감소에 일조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의 교역량 1등은 중국 2등은 미국 3,4등은 최근 일본, 베트남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 좋아요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1년 넘게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3년도 기준으로만 1-3월까지 -22,444,634천불을 기록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47,784,897천불을 기록하였습니다.

    우리나라가 현재 무역적자 폭이 커지고 지속되는 이유는 우선 중국 수출 감소와 반도체 수출량 감소가 주원인입니다.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하여 수요가 줄어들어 중국 수출량 및 반도체 수출이 대폭 감소하여 전체적인 무역 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에너지원 가격 상승으로 수입 에너지 단가가 상승한 것도 무역적자에 원인 중 하나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좋지 못합니다.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대부분 흑자를 기록하였지만,

    작년 2022년에 무역적자를 기록하였고 2023년에도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무역수지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1. 관세청 홈페이지에 등록된 보도자료에 의하면, 2023.4.1.부터 4.20.까지 수출입현황은

    전제 수출누계금액 미화 1,839억달러, 수입누계금액 2,105억달러로 차액 미화 266억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 미국하고는 수출금액 58억9300만달러, 수입금액 미화 41억9300만달러로 차액 17억달러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3. 중국하고는 수출금액 62억9700억달러, 수입금액 미화 82억9300달러로 차액 19억9600만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4. 주요수출품목 중 반도체 39.3% 감소, 석유제품 25.3% 감소, 무선통신기기 25.4% 감소한 것으로 확인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