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과 혈압 수치를 낮추려면 한 끼를 굶는 공복 상태가 도움이 될까요?
제가 건강검진을 받으면 혈압이 다소 높고(고혈압 전단계) 콜레스테롤 수치도 다소 높게 나옵니다. 약까지 처방받을 정도는 아닌데 물론 식단을 조절해야 하지만 혹시 1 ~ 2끼를 건너뛰면(공복 상태가 되면) 해당 수치들이 안정화되는데도 도움이 될까요? 식단이라는게 기름과 양념을 피해서만 먹기는 힘들 것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콜레스테롤과 혈압은 한 두끼 굶는것으로 뚜렷하게 안정화되기 어렵습니다.
1) 단기 효과와 한계
공복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혈당, 인슐린 분비가 줄어들면서 혈압, 혈중 지질(트리글리세리아드)이 약간 내려갈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검사 당일이나 몇 시간 동안 나타나는 현상이고 장기적으로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검진 전에 금식하는 이유도 주로 이런 단기적인 안정화를 위한 것이며 실제 치료 목적이 아닙니다.
2) 장기적인 개선
콜레스테롤과 혈압 수치는 생활습관의 누적 결과입니다. 콜레스테롤은 포화지방, 트랜스지방을 줄이고, 식이섬유(채소, 콩, 현미, 귀리), 불포화지방(등푸른생선, 견과류, 올리브유)을 늘리셔야 장기적으로 LDL이 낮아지게 됩니다. 혈압은 염분 줄이기(된장, 국물 음식, 김치 조절), 체중 감량,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이 중요합니다. 카페인, 알코올, 흡연도 영향을 주게됩니다.
3) 간헐적 단식/연관성
한 끼를 굶는 것 보다는 꾸준한 패턴이 중요하겠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간헐적 단식(16:8, 하루 2끼)은 체중, 인슐린 저항성 개선으로 간접적으로 혈압/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는 있습니다. 무작정 건너뛰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식습관 패턴을 가져가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단순히 한두 끼 굶는건 검사 당일엔 수치가 좋아 보일 수 있겠습지만, 장기적인 개선에는 몇 가지 습관이 필요합니다. 체중 관리, 염분/기름 줄이기, 자연식품 위주의 채소/과일/동식물성단백질/지방, 규칙적인 운동, 수면 개선이 혈압과 콜레스테롤 모두 동시에 큰 효과를 가져다 줍니다.
참조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