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오로라는 왜 추워야 더 잘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태양풍의입자가 충돌해서 생기는게 오로라로 알고있는데요~ 그런데 추운날씨여야 더 잘보인다고 하던데요~ 왜 추워야 더 잘보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극지방으로 갈수록 오로라를 만드는 이온성 물질들이 더 잘 모이게 됩니다. 이에 따라 관측이 더 용이해 지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주변 기온보다는 위도가 65~70도정도에서 잘 발생하기때문에 대부분 추운지역에 위치합니다.

      지구자기장에 이끌려 지구 극지방쪽으로 이온성물질들이 몰려들기 때문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가 추운 날씨에 더 잘 보이는 것

      은 결코 추위 때문이 아닙니다.

      오로라

      는 태양풍 속의 전하를 띤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 극지방으로 유도되어 대기

      상층부의 기체 분자들과 충돌할 때 발

      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빛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오로라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대기의 명확성입니다.

      추운 날씨는 대기가 맑고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어

      시야가 더 깨끗해지고

      빛의 흐림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로라를 관측하기에 더 적합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오로라가 추운 곳에서 더 잘 보인다는 것은 대체로

      가시성 높은 대기 상태와 관련된 것입니다.

      또한 오로라는 태양 활동과도 밀접

      한 관련이 있어 태양 흑점의 주기적인

      활동 증가 시기에 오로라의 강도와

      발생 빈도가 높아지기도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풍의 입자가 충돌하여 생기는 오로라는 매우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의 입자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데 이 때 태양풍의 입자는 지구의 대기권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 때 대기권의 고도가 높을수록 태양풍의 입자가 더 많이 충돌하게 되어 오로라가 더 밝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추운 날씨일수록 대기권의 고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오로라가 더 잘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추운 날씨일수록 대기권의 분자들이 더 많이 충돌하여 오로라를 더 화려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추운 날씨일수록 오로라가 더 잘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추운 날씨일수록 오로라를 더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가 추운 날씨에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두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첫째, 추운 날씨에는 대기가 더 건조하기 때문입니다. 수증기가 적으면 태양풍 입자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더 적게 산란되어 더 밝은 오로라를 만들 수 있습니다. 둘째, 추운 날씨에는 밤하늘이 더 어둡기 때문입니다. 어두운 하늘에서는 오로라의 빛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밤하늘의 아름다운 자연 현상이지만, 왜 추운 날씨에 더 잘 보이는지 궁금한 적이 있나요?

      오로라가 추운 날씨에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기의 건조함:

      • 오로라는 자기권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가 대기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건조한 공기는 수증기가 적기 때문에 고에너지 입자의 에너지를 더 효율적으로 빛으로 변환합니다.

      • 반대로, 습한 공기는 수증기가 많아 빛 산란을 일으켜 오로라를 흐릿하게 보이게 합니다.

      2. 맑은 하늘:

      • 오로라를 보기 위해서는 맑은 하늘이 필수적입니다.

      • 겨울에는 구름이 적고 맑은 날씨가 많아 오로라를 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여름에는 구름이 많아 오로라를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밤의 길이:

      • 겨울에는 밤이 길기 때문에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 여름에는 밤이 짧아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입니다.

      4. 지구의 자기장:

      • 지구의 자기장은 오로라가 발생하는 지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 겨울에는 지구의 자기장이 더 강력하여 오로라가 더 넓은 지역에서 나타납니다.

      • 여름에는 지구의 자기장이 약해져 오로라가 나타나는 지역이 좁아집니다.

      따라서 추운 날씨는 오로라를 보기에 더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맑고 건조한 공기, 긴 밤, 강력한 자기장은 오로라를 더 밝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으로 보호되는 대기권 상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태양풍의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추운 날씨에서 오로라가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대기 중의 분자가 더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추운 날씨일수록 대기 중의 분자가 더 밀도가 높아져 태양풍의 입자들이 대기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로라가 더 선명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지역에서 오로라가 더 잘 보이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추운 지역에서는 대기 중 입자들이 더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이 입자들이 태양풍과 상호작용하여 빛을 발산하게 됩니다.

      극지방은 지구의 자기장이 더 강하게 작용하는 지역입니다. 이 강한 자기장은 태양풍에서 나오는 입자들을 지구 주위로 유도시킵니다. 이 입자들이 대기 중에서 충돌하면 빛을 발산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로라의 원인입니다. 극지방은 겨울에는 긴 밤이 지속되는 지역입니다. 밤이 길면 더 오랫동안 오로라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더 잘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추운 지역에서 오로라를 관찰하면 더 화려하고 아름다운 빛의 향연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위도가 높은 극지방에서 잘 관측되는 자연현상입니다. 오로라가 잘보이는것은 추위와는 다르게 밤이 깊어야 잘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