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 훈육할때 조심해야 하는 말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육아를 하다보면 뭔가 너무 무섭게 아이들을 훈육하고 있는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합니다.그래서 이게 올바른 훈육이 맞나싶기도 하고 헷갈립니다. 어떤 말들을 주의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훈육이라는 것은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할수 있도록 가르치고 교육하는것입니다. 아이를 훈육할때는 아이가 어떤 행동에 대해 잘못한 행동을 했는지 아이가 이해할수 있게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줘서 반복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아이를 훈육 할때는 감정적으로 큰소리내거나 화를 내지 않아야 하며 체벌이나 비난 섞인 말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욕을 하거나 누구를 비교하거나 부정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아이를 훈육할 때 조심해야 하는 말들에는 무엇인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양육자의 감정이 조절되지 않고 나오는

    비난 섞인 말, 비교하는 말, 욕설 등은 삼가해야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크게 심호흡을 하고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할 말들이 있는데,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올바른 행동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넌 왜 항상 그래?"와 같이 아이의 성격을 문제 삼는 말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말은 아이에게 무조건적인 부정적 인식을 심어주기 쉽고, 결국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신, 구체적인 행동에 집중해 "이 상황에서 네가 조금 더 조용히 했으면 좋겠어"라고 말해보세요. 또한 "엄마가 널 이렇게 실망하게 만들었어"와 같은 감정적인 말을 조심해야 합니다. 이런 말은 아이가 부모의 사랑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대신, "이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아. 다음엔 더 좋은 방법으로 해보자"처럼 행동에 집중하면서 아이에게 기회를 주는 표현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훈육 과정에서 “하지 마”와 같은 부정적인 지시 대신, "이렇게 해보자"처럼 긍정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시끄럽게 행동할 때는 "조용히 좀 해줄래?" 대신 "이 장난감을 가지고 조용히 놀아보자"라고 말하면 아이가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훈육 시에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고, 그 상황에서 왜 그 행동이 필요한지 설명해 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조심해야 말들은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는 말, 아이를 질책, 비난, 지적, 감정이 섞어서 훈육을 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큰 소리를 내거나, 화를 내어서도 안됩니다.

    훈육의 정의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짚어주고 그 즉시 바로 잡아주는 것입니다.

    충분히 화를 내지 않고, 큰 소리를 내지 않아도 언어적 소통으로 훈육이 가능 합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았다면 그 즉시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부드럽게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그럴 줄 알았다, 왜 이것밖에 못하냐 "같은 비난 적인 표현은 피해주세요 이는 자신감을 하락 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왜 이렇게 못해?'와 같은 비난은 아이의 자신감을 떨어뜨리니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훈육할때 비난이나 질책하는 말투 이유없는 화냄은 줄여야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아이에게 트라우마로 남아 좋지않은 기억을 남길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단어선택은 정말 중요한데요 아이의 정서와 자존감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는 왜 그모양이니?" 와 같은 단정적인 표현은 아이에게 고정된 인식을 심어줘요 그래서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듭니다 잘못도니행동이 습관이 될 수도 있지만 모든 행동이 그렇지는 않기 때문에 일반화 시키면

    안 돼요 그리고 다른아이들과 비교하는 것도 아이의 자존심을 손상시키고 열등감을 느끼게 만듭니다

    그러면서 부모에 대한 반감도 생기고요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타인과의 비교가 아니라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과 격려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