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재산범죄

비케이
비케이

보이스피싱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주실수 있나요?

보이스피싱 종류에 대해서 정리해주실수 있나요?

요즘에도 나이드신분들에게 보이스피싱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종류별로 정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족들이나 지인들에게 공유해주려고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보이스피싱 범죄는 나날이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보이스피싱 유형들을 정리하여 공유해 드릴 테니, 꼭 주변 분들과 함께 읽어보시고 피해를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1. 대출 사기형

    저금리 대출: "정부 지원 저금리 대출", "신용 등급 상관없이 대출 가능" 등의 문구로 유혹하여 선입금, 수수료 등을 요구합니다.

    대출 기록 삭제: "기존 대출 기록을 삭제해 주겠다"며 접근하여 개인 정보를 빼내거나 돈을 가로챕니다.

    작업 대출: "신용 등급이 낮아도 대출을 받게 해 주겠다"며 불법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돈을 요구합니다.

    2. 정부 기관 사칭형

    검찰, 경찰, 금감원 사칭: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 "개인 정보가 유출되었다" 등의 협박으로 돈을 이체하도록 유도합니다.

    국세청, 건강보험공단 사칭: "세금 환급", "보험료 환급" 등을 미끼로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를 빼냅니다.

    출입국관리사무소 사칭: "불법 체류 혐의가 있다", "출국 금지되었다" 등의 거짓 주장으로 돈을 요구합니다.

    3. 가족 사칭형

    자녀, 손자 사칭: "사고가 났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 등의 다급한 상황을 연출하여 돈을 요구합니다.

    납치 협박: 가족을 납치했다고 주장하며 몸값을 요구합니다. (실제 납치는 일어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4. 메신저 피싱형

    카카오톡, 라인 등 메신저를 이용: 가족이나 지인을 사칭하여 "휴대폰이 고장 났다", "문화상품권을 보내달라" 등의 메시지를 보내 돈을 요구합니다.

    5. 투자 사기형

    고수익 투자: "원금 보장 고수익 투자", "해외 투자" 등으로 유혹하여 투자금을 가로챕니다.

    가상화폐 투자: 가상화폐 투자를 권유하며 투자금을 편취합니다.

    보이스피싱 예방 수칙

    발신자가 누구인지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전화는 받지 않습니다.

    금융 기관, 공공기관은 전화로 개인 정보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악성 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설치하지 않습니다.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았을 때는 가족이나 지인에게 전화하여 사실 여부를 확인합니다.

    금융 거래는 은행이나 증권사를 직접 방문하여 처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