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인건비를 고정비로 보고 미국은 인건비를 변동비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국에선 재무나 원가회계시 인건비를 고정비로 취급하지만 미국에선 재무나 회계에서 인건비를 변동비로 취급한다고 하던데요
왜 이 두 국가가 인건비를 상반되서 간주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고용에 대해서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규직을 해고하는데 제한사항이 많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언제든 해고가 자유롭기 때문에 변동비로 보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건비를 우리나라는 고정비 성격으로 보고, 다른 선진국들은 변동비 성격으로 보기는 합니다. 인력 구조조정이 쉽기때문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인건비를 고정비와 변동비로 다르게 취급하는이유는 두 국가의 회계 및 경영 철학, 법규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두 국가의 기업 문화, 법규, 회계 원칙 등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각 국가의 경제적, 문화적, 법적 환경에 따라 인건비의 취급 방식이 다르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에서 인건비를 다르게 취급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산업 구조와 고용 형태의 차이
한국: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생산량 변동에 따라 고용량을 조절하는 유연한 고용 시스템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인건비를 생산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변동비로 취급하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미국: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용의 유연성이 낮고 고용 조정 비용이 높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인건비를 생산량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로 취급하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2. 회계 기준 및 재무 분석 방식의 차이
한국: 국제회계기준(IFRS)과 한국회계기준(K-GAAP)을 병행 적용하고 있으며, 재무 분석 시 현금흐름 분석에 비중을 둡니다.
현금흐름 분석에서는 인건비를 지출로 분류하고, 지출은 변동비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 미국회계기준(US GAAP)을 적용하며, 재무 분석 시 손익 계산서 분석에 비중을 둡니다.
손익 계산서 분석에서는 인건비를 비용으로 분류하고, 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3. 기업 문화와 경영 전략의 차이
한국: 단기적인 성과에 민감하고,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경영 전략은 인건비를 생산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변동비로 취급하는 것을 강화합니다.
미국: 장기적인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인적 자원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경영 전략은 인건비를 생산량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로 취급하는 것을 강화합니다.
답변이 충족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용의 유연성에 따라서 다른 것 같습니다.
미국은 비교적 고용 및 해고 등이 용이하나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고용과 해고 등에 경직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인건비를 고정비와 변동비로 상이하게 보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고용 관행의 차이
- 한국은 전통적으로 종신고용 관행이 강해 인력 조정이 쉽지 않아 고정비 성격이 큼
- 반면 미국은 고용의 유연성이 높고 경기에 따라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경향이 커서 변동비적 특성을 가짐
2. 법적, 제도적 차이
- 한국은 해고가 쉽지 않고 근로기준법상 규제가 많아 인건비 고정비 성격이 강함
- 반면 미국은 고용 시장이 유연하고 해고 절차가 간소해 변동비 특성을 보임
3. 경영 전략과 관행의 차이
- 한국 기업들은 안정성을 중시하고 유휴 인력을 어느 정도 감내하는 편
- 반면 미국 기업들은 효율성을 강조하고 수익성 악화시 즉각 구조조정에 착수하는 경향
4. 노사 관계 차이
- 한국은 노조의 영향력이 크고 정리해고가 쉽지 않아 고용이 경직적
- 반면 미국은 노조 영향력이 적고 고용 유연성이 높아 변동비 성격이 강함
이처럼 한국과 미국의 인건비 회계 처리 차이는 고용제도, 법률, 관행, 노사문화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다만 최근 한국도 고용 유연성이 제고되고 성과급 비중이 커지면서 과거보다는 인건비의 변동비적 특성이 커지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