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한국은 인건비를 고정비로 보고 미국은 인건비를 변동비로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한국에선 재무나 원가회계시 인건비를 고정비로 취급하지만 미국에선 재무나 회계에서 인건비를 변동비로 취급한다고 하던데요

왜 이 두 국가가 인건비를 상반되서 간주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고용에 대해서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규직을 해고하는데 제한사항이 많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언제든 해고가 자유롭기 때문에 변동비로 보는 것이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건비를 우리나라는 고정비 성격으로 보고, 다른 선진국들은 변동비 성격으로 보기는 합니다. 인력 구조조정이 쉽기때문입니다.


  • 한국과 미국이 인건비를 고정비와 변동비로 다르게 취급하는

    이유는 두 국가의 회계 및 경영 철학, 법규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두 국가의 기업 문화, 법규, 회계 원칙 등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각 국가의 경제적, 문화적, 법적 환경에 따라 인건비의 취급 방식이 다르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에서 인건비를 다르게 취급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습니다.

    1. 산업 구조와 고용 형태의 차이

    • 한국: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생산량 변동에 따라 고용량을 조절하는 유연한 고용 시스템이 특징입니다.

      • 이러한 특징은 인건비를 생산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변동비로 취급하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 미국: 서비스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용의 유연성이 낮고 고용 조정 비용이 높습니다.

      • 이러한 특징은 인건비를 생산량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로 취급하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2. 회계 기준 및 재무 분석 방식의 차이

    • 한국: 국제회계기준(IFRS)과 한국회계기준(K-GAAP)을 병행 적용하고 있으며, 재무 분석 시 현금흐름 분석에 비중을 둡니다.

      • 현금흐름 분석에서는 인건비를 지출로 분류하고, 지출은 변동비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미국: 미국회계기준(US GAAP)을 적용하며, 재무 분석 시 손익 계산서 분석에 비중을 둡니다.

      • 손익 계산서 분석에서는 인건비를 비용으로 분류하고, 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3. 기업 문화와 경영 전략의 차이

    • 한국: 단기적인 성과에 민감하고, 비용 절감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 이러한 경영 전략은 인건비를 생산량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변동비로 취급하는 것을 강화합니다.

    • 미국: 장기적인 성과에 초점을 맞추고, 인적 자원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영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 이러한 경영 전략은 인건비를 생산량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고정비로 취급하는 것을 강화합니다.

    답변이 충족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용의 유연성에 따라서 다른 것 같습니다.

    미국은 비교적 고용 및 해고 등이 용이하나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고용과 해고 등에 경직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이 인건비를 고정비와 변동비로 상이하게 보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습니다.

    1. 고용 관행의 차이

    - 한국은 전통적으로 종신고용 관행이 강해 인력 조정이 쉽지 않아 고정비 성격이 큼

    - 반면 미국은 고용의 유연성이 높고 경기에 따라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경향이 커서 변동비적 특성을 가짐

    2. 법적, 제도적 차이

    - 한국은 해고가 쉽지 않고 근로기준법상 규제가 많아 인건비 고정비 성격이 강함

    - 반면 미국은 고용 시장이 유연하고 해고 절차가 간소해 변동비 특성을 보임

    3. 경영 전략과 관행의 차이

    - 한국 기업들은 안정성을 중시하고 유휴 인력을 어느 정도 감내하는 편

    - 반면 미국 기업들은 효율성을 강조하고 수익성 악화시 즉각 구조조정에 착수하는 경향

    4. 노사 관계 차이

    - 한국은 노조의 영향력이 크고 정리해고가 쉽지 않아 고용이 경직적

    - 반면 미국은 노조 영향력이 적고 고용 유연성이 높아 변동비 성격이 강함

    이처럼 한국과 미국의 인건비 회계 처리 차이는 고용제도, 법률, 관행, 노사문화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합니다. 다만 최근 한국도 고용 유연성이 제고되고 성과급 비중이 커지면서 과거보다는 인건비의 변동비적 특성이 커지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