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좋아요좀주세요
좋아요좀주세요23.05.25

경제적으로 현재 전쟁 누가 이겨야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문득 장기화되고 있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누가 승전국이 되야 경제적으로 유리한가 궁금하려 여쭤봅니다.

이번 전쟁으로 러시아는 강대국에서 탈락할 듯 한데 경제적 관점에서는 어떠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 경쟁을 통하여 누가 승리를 하여야

    이득을 취할지는 알 수 없습니다.

    현재도 상당히 경제에 타격을 주었기에

    아직 알 수 없으며 러시아는 경제적으로

    타격이 상당히 큰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감정적으로는 정의를 수호하는 우크라이나가 이기고 러시아가 패전국이 되어 도태되길 바라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경제학적으로 러시아가 갖고있는 지하자원,석유 등의 비교우위 상품의 무역이 중단됐을때 세계 모든나라의 경제적 손실도 어마어마합니다.

    언제나 건전한 대치관계,경쟁관계가 좋은 거 같다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쟁을 경제학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은 매우 슬픈일입니다.

    두 나라가 어디가 이기든 전쟁이 얼른 끝나는 것이 가장 경제적으로 좋은 일입니다.

    전쟁이 얼른 끝났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인 관점으로만 본다면 러시아보다는 우크라이나가 전쟁에서 이겨서 정복전쟁을 당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의 파괴된 도시들을 재건하는 인프라 재건 산업에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맹국들이 참여하게 되는 경우에는 건설업의 수주가 증가하게 되면서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미 이 전쟁이 1년이 넘게 장기화 되고 있고 세계 경제는 이미 이 두국가로 인해 경제적 피해를 많이 보고 있습니다. 전쟁에서 누가 이기던 결과가 중요해 지지는 않게 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곡물, 에너지, 원자재 가격 상승과 더불어 글로벌 공급망 교란은 국내 물가 상승세를 장기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 대체를 위해 전략비축유 방출, 이란 및 베네수엘라 제재 완화에 대한 협상을 진행시키고 있으나,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글로벌 그린 전환 정책기조와 마찰이 예상되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딜레마가 존재합니다. 특히 전쟁이 지속되는 경우 곡창 지대인 우크라이나의 밀 생산이 타격을 받아 곡물 가격 상승 압력이 우려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