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 묘비가 왜 중국에 있나요?
광개토대왕 묘비가 중국에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옛날에는 우리나라 땅이 지금 중국의 어디까지 인가요?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안도 강계부(江界府) 서쪽 강 건너에 오래된 성이 있는데, 이는 금(金) 황제의 성(城)이고 북쪽 7리 떨어진 곳에는 비(碑)가 있다고 하였다. 여기서 언급된 지역이 바로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집안분지) 일대로서 금 황제의 성으로 오인된 것이 바로 고구려의 옛 평지 도성이며, 북쪽 7리에 있는 비가 바로 광개토왕릉비를 가리킨다고 본다. 고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영토는 구글링하여 지도를 참조하십시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광개토대왕이 고구려때 만주쪽으로 영토를 크게 넓혔는데요. 그 때가 고구려 전성기였으니까 땅이 넓겠죠. 그래서 고구려 제일 북쪽 땅에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웠는데 지금은 그 땅이 중국에 있으니 비석이 중국에 있는 겁니다. 대부분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문화재는 중국이 많이 가지고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다.
압록강 북쪽에 큰 비가 있다는 사실은 〈용비어천가〉를 비롯해 조선 전기의 문헌에서 간혹 언급한 경우가 있으나 비문을 확인한 적은 없었다. 17세기 이후 청나라(淸)에서 이 지역을 만주족의 발상지로 간주하여 봉금제도(거주금지 조치)를 시행하자 인적이 뜸해져 잊혀진 상태로 있다가, 봉금제도가 해제되고 회인현이 설치된 뒤 1880년을 전후해서 재발견되었다. 당시 비가 재발견된경위는 알수없으나 비 발견의 소식이 알려지자 당시 중국 회인현의 지현이던 장월이 관월산을 보내어 탁본을 만들게 했고, 그후 중국의 서예가나 금석학자들에 의해 많은 탁본이 만들어졌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중국의 랴오닝성 일부, 지린성 일부, 헤이룽장성 일부가 과거 고구려의 영토였으며, 그래서 중국이 소위 고구려의 역사를 자기네들 역사라고 우기는 게, 이들 지역(동북 3성)에 대한 실효 지배권을 추후 상실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당시에 점령을 했던 중국 땅에 우리나라 고구려가 거기까지
진출을 했다는 뜻을 알리기 위해서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광개토대왕 묘비는 현재 중국에 있습니다. 광개토대왕은 7세기에 신라를 다스리던 왕으로, 일본에도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광개토대왕 묘비는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 연변 지방인 지린성(遼寧省)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광개토대왕의 유골은 중국에서 발견된 것으로, 중국에서는 광개토대왕을 '고려왕'이라고 부르며, 중국 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광개토대왕 묘비는 지금도 중국에 있는데, 이는 광개토대왕이 중국과의 왕위 계승을 위한 결혼 제안을 거절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끊은 뒤 중국에서 숨진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때문에 광개토대왕의 유골이 중국의 지방에 안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서기 414년 (장수왕 3년)에 아버지의 업적을 찬양하고 추모하기 위해 능묘 곁에 비석을 세웠는데 중국 지린성 통거우에 있다고 합니다. 내용은 고구려 왕실의 연원에 대한 수사, 광개토대왕의 정복 활동과 왕릉의 수묘인 규정이라고 합니다. 광개토 대왕 당시 고구려의 영역은 북으로 만주 및 요서 지방 까지 우리 역사상 가장 큰 나라를 세운 나라이기에 그 땅에 광개토 대왕이 묻혔고 자연스럽게 지금은 중국의 땅이 된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요하(랴오허강)이 고구려 시대 중국과의 경계인 것으로 추측됩니다.
요동지역 전체가 고구려 땅이었고 정확한 확장지역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간도, 요동, 하얼빈 일대가 다 고구려 영토였다고 판단됩니다.
그 지역이 고구려 땅이었기 때문에 영토확장을 기념으로
확장된 영토에 기념비를 세운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개토대왕 묘비는 중국 랴오닝성 시안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는 광개토대왕이 4세기 말 고구려를 다스릴 때 이 지역을 정복하여 수도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의 묘비는 중국에 남아 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장수왕 2)
광개토왕이 사망한 2년 후 아들 장수왕(長壽王)이 부왕의 능을 조성하며 건립하였다.
비가 세워진 곳은 고구려의 수도였던 국내성(國內城) 지역으로, 평양으로의 천도 이후에도 정치․문화적으로 중요한 곳으로 기능하였으나, 668년(보장왕 27) 고구려가 망한 이후에는
과거의 영화를 뒤로 한 채 방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