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초등생자녀 차등 지급보상 괜찮을까요?

초3 2 자녀 둘이 있습니다.

요즘 저녁마다 같이 게임하고 퀴즈내고 하는 시간이 많다보니 아이들하고 서로 아이디어 내가며 재미있게 노는데요

하나 고민중인게 그런 아이디어를 종합하다가 한주동안 열심히 한것에 대해 보상을 줄까하는데

똑같이주면 의미없을것같아 차등지급을 해주려하는데요

한가지 마음에 걸리는게 차등지급을 해주다보면 차별하는것처럼 느끼지않을까 걱정입니다

열심히한것에 대한 보상을 차등지급해도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연령에 따른 차등지급이 아닌 행위의 가치를 매겨 지급하는 것은 오히려 교육적으로 좋습니다

      다만 아이들이 너무 금전적으로 세상을 대하지 않도록 결과보다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경쟁을 유도하시는 것만 아나라면

      차등지급이 아아들간에 승부욕이나

      좋은 습관을 기르는데 도윰이 돨 것 겉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의 생각은 그러하지만 아이들과 상의를 해 보는 건 어떨까요? 아이들의 동의가 구해지면 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정말 훌륭하시네요. 저도 아이들과 많이 놀아주질 못해 늘 아쉽고 마음에 걸리는데요. 쉽지 않은 일을 잘 하고 계시네요.^^

      일주일씩 돌아가며 칭찬순서를 부모가 정해주는게 아닌 아이들이 정당한 방법(가위바위보)으로 정한다던가 하는 규칙을 아이들 스스로 합의하여 만드는 것도 다툼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규칙을 따른 아이들에게는 반드시 칭찬과 격려로 보상을 해줘야합니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형제·자매가 잘 지내고 있는 상황에서 흐뭇해하기만 할 뿐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칭찬과 격려, 보상은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다툼이 있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극적으로 나서 질책하거나 혼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벼운 놀이나 게임 등 아이디어에서 차별적인 보상은 긍정적으로 보셔도 됩니다. 차별이라고 해서 모든게 부정적인 면만 있는게 아닌 공정한 차별도 존재합니다. 그 공정함을 게임의 결과에 승복하고 인정할 줄 아는 아이로 성장시켜 보시면 어떨까요.
      부정적인 상황에 대한 반응보다는 긍정적인 상황에 먼저 대응함으로써 긍정적인 행동을 발전시킬 수 있으므로 부모는 자녀들이 서로 지지하고 협력하고 잘 어울릴 때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칭찬과 격려를 표현해서 형재·자매가 잘 어울려 놀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작지만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행복한 휴일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긍정적인 행동을 했을 시 보상을 해주는 부모님이 의외로 많답니다.

      보상의 훈육법은 아이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변화 시키고 동기부여를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아이는 보상 자체에만 집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이용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미리 아이들과 함께 차등 보상을 줄 거란 계획을 이야기하면, 아이들도 이해하고 수긍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는 데 제 개인적 생각으로는 보상제도의 단점들이 더 크게보여서 학급에서도 보상제도를 시행하지않습니다.

      보상이 있으면 아이들이 더 열심히 할 수도 있지만 보상이 없거나 못받거나 하는 때에 흥미도도 급속히 떨어지고 의욕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보상이 없이 해야하는 일은 이거 하면 뭐해줘요? 왜해야되요? 라는 반문에 부딪히게 됩니다.

      생각보다 아이들은 물질적 보상이 없더라도 칭찬한마디 응원한마디로도 충분히 즐거워하고 재밌어 합니다.

      만약 보상제도를 계속 하실 생각이라면 차등제도는 안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차등 보상은 아이들의 라이벌 의식을 느끼게 하고 경쟁의식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라이벌이 있어야 하고 경쟁을 하면서 치열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공부의 요점이 인 것이잖아요.

      형제끼리 라이벌 의식을 갖게하고 경쟁의식을 느끼게 하면서 서로를 질투하게 할 필요가 있을까요?’

      형제 끼리의 단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되어집니다.

      학습을 놀이로 하는 것 까지는 좋으나 보상은 이렇게 해주세요.

      우리 첫째는 00를 잘해서 스티커 한장, 우리 둘째는 이점이 좋았기 때문에 스티커 한장 그래서 공평하게 주는 거야 라고 말하여주세요.

      놀이는 협동심을 기를 수 있는 놀이를 해보는 것이 아이들에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