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효과적으로 훈육하기 위한 방법과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아이를 양육하는데 있어 훈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아이를 효과적으로 훈육할 수 있을지 막막한데, 특히 3~6세 어린이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훈육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아이가 자주 울거나 반항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또한 부드럽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훈육을 하려면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잘못된 훈육이 아이에게 미칠 수 있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아이를 효과적으로 훈육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훈육하고 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소리를 지르거나 비난, 비하, 비교, 욕설 등은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효과적으로 훈육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단호하고 일관성이 있는 태도로 훈육을 해야 합니다.
즉, 훈육의 방법은 아이가 잘못된 행동과 언어를 보이고 사용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지금 사용한 언어와 지금 보인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말하여 주고, 왜 이러한 행동과 언어가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면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과 언어를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훈육이 끝나면 아이를 그대로 자기 방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안아주고 "오늘 엄마한테 혼나서 마음이 너무 슬펐지, 엄마는 우리 00가 이러한 행동과 언어를 또 다시 실수하지 말라고 우리 00의 잘못된 행동을 고쳐주기 위해서 우리 00를 혼을 냈어, 엄마가 너무 혼을 내서 미안하고 다음 부터는 실수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면서 아이의 등을 토닥이며 아이의 감정을 잘 달래어 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긍정적 피드백과 경계를 설정하세요. 감정을 이해하고 일관된 규칙을 적용하며,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적인 훈육은 신뢰를 감소시키고 정서적 상처를 남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훈육은 긍정정 강화와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감정을 존중하세요. 반항시에는 차분히 대화하고, 잘못된 행동은 부드럽게 설명합니다. 잘못된 훈육은 신뢰감 상실과 정서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의 행동이 왜 잘못되었는지, 또는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해 주세요. 아이가 감정적으로 힘들어 할 때 부모가 어덯게 감정을 조절하는지를 보여주고 지금 슬프구나 그럴때는 이렇게 해보자 라고 안내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 칭찬이나 보상을 통해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스로 장난감을 정리했을 때 잘했어 정말 깨긋하게 정리했구나 라고 칭찬해 주세요. 가정 내에서 명확하고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이를, 일관되게 적용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을 효과적으로 훈워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을ㅈ강하게 밀어붙이지 말고 부드럽고 공감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