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일어나면 눈앞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서서히 괜찮아지기는 하는데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눈앞에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일 때가 있던데 그건 왜 그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자는동안에 순환이 떨어지기 때문에 눈에 단백질 찌꺼기나 노폐물들이 끼어서 그런것 같네요 간열이 있으신분들이 더 그럴수 있습니다 결명자차를 드셔보세요
잠에서 깼을 때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것은 눈의 건조함이나 눈물막의 이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수면 중에는 눈물 분비가 감소하고, 눈을 감고 있어 눈물막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을 수 있거든요.
또한 안구 내 압력 변화, 각막 부종, 수면 중 눈 깜박임 감소 등도 일시적인 시야 흐림을 유발할 수 있어요.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지만, 빈번하게 발생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안과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수면 전 눈 마사지를 해주고, 수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며, 눈 깜박임을 의식적으로 해주는 것이 도움될 수 있어요.
증상이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졌다면 안구건조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혹시나 수면시에 눈을 뜨고 자는건 아닌지 확인을 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수면시 실내 습도를 높여주시고 눈 주변을 손으로 마사지하거나 온찜질을 해서 눈물분비를 높여주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평소에 무언가를 집중해서 볼 때 눈깜빡임이 줄어서 안구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일부러라도 눈을 깜빡깜빡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구건조가 있을 때 인공눈물을 넣는다고 바로 증상이 없어지지 않습니다.
건조에 의해서 각막에 상처가 나고 이 상처가 회복될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겠습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안과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론) 수면 환경 (건조) 및 수면 시간의 부족, 복용중인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안구건조증 부터 고려해 보셔야 할 듯 하고
따뜻한 물수건으로 눈을 맛사지 하거나 , 충분한 수면 확보 등을 우선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눈앞이 뿌옇게 보이는 것은 안구건조증, 염증성 질환 또는 실눈곱이 끼어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과에 내원하셔서 검사받아보길 바랍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여러 안과적 혹은 신경과적 질환으로 야기될수있습니다. 빠른 시일내에 안과 (이상 없으면 신경과)에 방문 하셔서 진료와 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주된 원인 중 하나는 눈의 건조함입니다. 수면 중 눈을 감고 있을 때 눈물 생성이 줄어들어 각막이 일시적으로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눈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되어 빛이 불규칙하게 굴절되면서 시야가 뿌옇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눈물이 다시 분비되고 눈을 깜빡이면서 표면이 매끄럽게 되어 시야가 정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또 다른 가능한 원인은 수면 중 체액의 변화로 인해 눈이 일시적으로 부어오르는 것입니다. 체액이 밤새 눈 주위에 축적되면 각막의 형태가 약간 변형되어 시야가 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어나서 활동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체액이 다시 분포되면서 개선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결막염이나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증상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 먼저 안과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자고 일어났을때 시야가 뿌연 증상은 눈꼽이 시야를 가리고 있어 나타나는 증상일 가능성이 높으며, 만약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안과 검진을 받길 권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