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의 상태가 안좋을때 절연저항 측정을 하는데 이게 무엇인가요?
전선의 상태가 안좋을때마다 절연저항 측정을 해서 일단 전선의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절연저항이 무엇이길래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절연저항은 전선의 절연이 얼마나 잘 유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전선의 절연이 노후하거나 손상되면 누설 전류가 발생하고, 이는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절연저항 측정을 통해 전선이 제대로 절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측정된 값이 기준치보다 낮으면 전선의 절연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이므로 교체나 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전기 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절연저항은 전기 회로나 시스템에서 전류가 불필요하게 흐르지 않도록 하는 절연체의 능력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전선의 절연 상태가 나빠지면 전류가 새어 나가 전기 누설이나 화재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절연저항 측정을 통해 전선의 절연 성능을 확인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측정을 통해 낮은 절연저항 값이 나온다면 이는 절연체의 손상이나 오염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절연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전선에 뭔가 이상이 있을때 합니다.
주로 합선 여부 등을 검사할때 절연측정을 하는데,
쉽게 말하면, 어느 부위에 전류가 통하지 말아야 하는데, 그 부위가 전류가 통하는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절연 저항은 전선의 절연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것을 측정해서 절연이 잘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보통 전선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의 절연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절연 저항이 낮으면 절연이 되지 않고 누전이 되고 있다고 볼수 있어서 안전하지 못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연 전문가입니다.
절연저항에 대하여 궁금해 하시는군요.. 절연저항이란 전선의 상태가 나쁠경우 측정하게 되는데 ..
두개선이상을 사용할경우에 이 두선이 분리가 되어 있어야 하나, 피복의 상태에 따라 분리가 되지않고 저항값이 발생하는경우 절연저항이 발생한다라고 합니다. 즉 절연저항은 무한대가 나와야 좋은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선의 경우 동과 외부피복으로 구분되는데요.
근데 전선에 충격이 와 동이 노출되거나 끝어지면 절연저항이 급격히 낮아지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절연저항은 전선의 절연 성능을 측정하는 값으로, 전선 외부에서 전류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 입니다.
절연 저항이 낮으면 전선의 절연 상태가 나빠져 전류 누설이나, 감전 위험이 커지게 됩니다.
이를 측정해 전선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것은 전기 시스템의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절연저항이란 전선의 표면을 덮고 있는 절연체가 전기를 얼마나 잘 막아내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마치 고무장갑이 물이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처럼 절연체는 전류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막아 감전이나 화재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절연저항 측정은 전선의 절연체가 손상되었거나 노화되어 전기가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만약 절연저항이 낮게 측정된다면 절연체가 손상되었거나 노후화되었다는 의미이며 이는 전기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높아졌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절연저항 측정을 통해 전기 시스템의 안전을 확보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절연저항이 높으면 누전이 발생합니다. 저희는 누전차단기를 쓰기 때문이 그렇습니다.
절연물에 직류 전압을 가하면 약한 전류가 흐릅니다. 이때의 전압과 전류의 비로 구한 저항을 절연저항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