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호화로운상사조280
호화로운상사조280

아침에 오바이트를 했는데요....

성별
여성
나이대
47

아침에 오바이트를 하려고 변기에 숙여서 오바이트를 하자마자 어깨랑 팔이 갑자기 큰통증이 있었어요.. 근육통 오는것처럼 깜짝놀랠 만큼 큰통증이었어요.. 오바이트도 중간에 중단할만큼이요...

하루종일 통증이 있다가 이제야 갠찬아져서

방금 양치를 하다가 헛구역질 살짝했는데 또 어깨랑 팔이 심하게 통증이왔어요..

무슨 증상일까요.? 걱정이되고

지금 또다시 팔이 아픕니다..

통증이 끈으로 팔을 꽉 조여맷을때 처럼

딱 그표현이 맞을것같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침에 갑작스런 구토와 함께 어깨와 팔에 심한 통증을 경험하셨군요. 이러한 증상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요. 구토를 하면서 복압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어 근육에 무리가 가거나 신경이 압박될 수 있답니다. 이런 이유로 일시적인 근육 경련이나 신경 압박이 발생할 수 있고요. 또한, 스트레스나 긴장 상태에서 근육이 경직될 수도 있어요. 만약 통증이 지속되거나 더 심해진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아요. 구토는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으니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해요. 불편하시겠지만 요즘 같은 때는 건강 관리 더욱 신경 쓰셔야 해요. 빠른 호전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적어주신 증상만으로 질활을 추정하긴 어려움이 있으나 심한 구토로 인한 근육통의 가능성을 먼저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질문자 분의 나이가 40대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심장 질환 배제를 위한 진료를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침에 갑작스럽게 구토를 하고 나서 어깨와 팔에 강한 통증을 경험하셨군요. 이와 같은 통증은 때때로 구토 중에 근육이 수축하면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구토가 갑작스럽게 일어날 때 더 강하게 느끼실 수 있습니다. 구토를 하는 동안 몸의 여러 근육이 동시에 긴장하게 되면서, 특히 상체 근육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이런 압박이 근육통과 같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양치 도중 헛구역질을 할 때도 비슷한 통증을 경험하셨다고 하셨는데, 이는 아마도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한 것일 수 있습니다. 구토나 헛구역질로 인한 과도한 근육 긴장은 일상 생활에서 겪던 통증과는 다른, 낯선 형태의 통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러한 통증이 반복적이고 강하게 나타난다면, 단순한 근육통 외의 다른 원인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팔의 통증을 '끈으로 팔을 꽉 조이는 느낌'이라고 표현하셨는데요, 이런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좀 더 구체적인 진단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기에, 보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어깨와 팔의 갑작스러운 통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소화기와 신경계의 연결 문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구토나 헛구역질을 할 때, 목과 가슴,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신경이 자극을 받을 수 있어요. 구토를 할 때 복압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근육이나 신경에 압박이 가해져 통증을 유발할 수 있구요. 때때로 이 통증은 근육통처럼 느껴지기도 하며, 자극된 신경이 팔과 어깨로 방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심장과 관련된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심장 질환은 가슴 통증뿐만 아니라 팔, 어깨, 목 등에 방사통을 유발할 수 있죠. 특히 심장 문제로 인한 통증은 팔이 조여지는 느낌이나 무겁고 아픈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구요. 이 경우, 통증이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반복적이고 지속적이라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심장 관련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오늘 경험한 통증이 심장 문제인지 아니면 근육이나 신경 문제인지를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응급실이나 내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