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선을 만들때 피복의 저항은 정해져 있나요?
우리가 안전하게 사용하는 전기선도 피복이 있어서 매우안전하게 사용한데요. 전기선을 만들때 피복의 저항은 정해져 있나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이라 불리는 케이블은 구리선을 감싸는 피복(절연체)으로 덮여 있는데, 전기가 새어 나가지 않게 하는 역할이며, 도체와 외부환경과의 전기적 절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일단 작성자님 말씀처럼 피복의 절연저항이 국제표준에 의해 정해져 있습니다. 저항값은 일반적으로 저압선로에서 1.0M옴 이상의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그 값이 높아야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을 막아줍니다.
추가적으로 내전압시험을 진행하는데, 정격전압의 1.5배를 가했을때 피복이 파괴되지 않고 버티는 절연 내력 시험에서 Pass가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전기선의 피복 자체의 저항 값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고, 전선의 사용 전압 안에서 안전을 위한 전기설비규정만 만족하면 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의 피복 저항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피복은 절연체인데 어떤 재질의 절연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저항이 정해지는거죠. 거기에 추가적으로 두께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의 피복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이 아니라 절연과 보호를 위한 재질로 만들어져 저항값이 매우 높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피복의 저항은 정해진 값보다는 전기가 새지 않을 만큼 충분히 큰 절연저항을 가지게 만들어 지는 겁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의 피복에는 저항값이 정해 져있는것이 아니라 일전 기준 이상으로 높아야 한단느 규정이 있습니다 이를 최소 절연저항이라고합니다. 일단 전선의 피복은 전휴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절연체 입니다. 피복의 저항이 높을수록 전휴가 통하지 않고 재질을 만져도 전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절연전선의 경우 10m옴 이상 이 일반적으로 최소절연저항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전지선을 감싸는 절연재료는 어느정도로 제시되어 있는 기준이 없으나 사용하는 PVC나 고무 등의 소재는 기본적으로 메가옴 등급의 저항을 가지고 있어 절연 효과가 뛰어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2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선에 사용되는 피복은 KS규격상으로 1메가옴 이상 저항으로 보통 1.5kv되는 전압도 절연할수 잇습니다. 그래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는 피복이 벗겨지지 않으면 이상없이 사용가능한것입니다. 규격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2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