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구름나그네 99
구름나그네 9922.09.23

담보 대출을 받을려고 하는데 고정금리 와 변동금리중 어느쪽이 유리 할까요?

현재 주택 매입후 담보대출을 받을려고 하는데 고정금리는 넘 비싼것같고 변동금리는 얼마나 더오를지 겁나고 너무 갈등이 되네요

전문가님 께서는 어는쪽이 더 유리하고 또 금리가 얼마까지 올라가리라 보시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은 금리상승기조가 꾸준히 이어지는 시장으로 최소한 내년상반기에서 길게는 내년 하반기까지 금리인상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주담대를 받게 되신다면 15년에서 30년까지 기간을 설정하시게 될텐데요.

    금리인상은 내년까지 그 후 금리보합이 1년내지 이루어지고 3년뒤부터 금리인하가 조금씩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3년뒤 금리인하가 시작되더라도 현재금리보다는 높은 상황일 것으로 추측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주담대를 받으시게 된다면 혼합금리에서 3년고정에서 5년고정까지 하신후에 나머지 기간을 변동으로 돌리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일 괜찮은 금리 유형은 4년고정에 11년 변동금리를 추천드리며, 거치기간을 일부 두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주담대 금리는 5%중반에서 7%까지 상단금리를 터치하고 있으며 연말에는 최소 7%에서 상단금리 10%에 가까운 금리를 보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받으신다면 지금 하시는 것이 유리하세요

    좋은하루 되시고 좋은 선택하시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금 당장을 생각하면 고정금리가 유리하지만 몇년 후룰 생각하면 변동금리가 유리합니다. 본인이 상환해야 하는 금액과 예상 상환기간을 고려하여 현명한 판단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는 올말까지는 급격한 상승이 있을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는 상승폭은 적겠지만 인플레이션 상황에 따라서 변동성이 있어보이는데 일각에서는 기준금리를 내년까지 4~5%까지 보고 있는것으로 생각되는데 현 기준금리가 2.5%인것을 감안하면 부담이 될수밖에 없습니다. 그에 따른 대출시 본인의 대출금액과 상환기간등을 고려하시어 판단해야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최근에는 계속된 금리 인상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고정금리가 유리할 것으로 보이나 금리인상이

    정체를 보이고 인하된다면 대환대출 등을 고려하시는게 좋을 것 같으나

    미래는 알 수 없기에 신중하게 택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