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수들의 모티브의 배경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우리 나라 도교에 나오는 사신수 같은 경우 각각 주작 청룡 현무 백호가 있는데 그 동물들이 사신수에 뽑히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신은 네 방향의 방위신(方位神)을
말하며, 즉 좌청룡(左靑龍), 우백호(右白虎), 전주작(前朱雀), 후현무(後玄武)를 뜻하는 것인데, 그 기원은 중국의
오행사상에서 비롯되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룡은 동방의 수호신으로 푸른 불꽃을 휘감고 파멸을 막아준다고 하는 동쪽의 신성스러운 신수입니다.
동방의 운, 목 기운을 맡은 태세신을 상징한 짐승으로 예로부터 무덤과 관 속의 왼쪽에 그렸고, 계절로는 봄을 의미합니다.
백호는 서방의 수호신으로 민족에서 서방의 지, 금 기운을 맡은 태백산을 상징한 짐승으로 범의 모습으로 무덤 속의 오른쪽 벽과 관의 오른쪽에 그렸고 계절로는 가을입니다.
주작은 남방의 수호신으로 고대 중국에서 하늘을 별자리에 따라 크게 다섯으로 구분하여 오관 또는 오궁이라 했고 불을 상징하며 길조와 벽사 장생불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계절로는 여름입니다.
현무는 북방의 수호신으로 북방의 수 기운을 맡은 태음신을 상징하여 계절로는 겨울을 의미합니다.
영수들은 하늘을 나는 것, 하늘로 승천하거나 땅을 기는것, 땅에서 움직이는 것, 뮬과 육지를 갈수 있는것으로 이루어지고 각 동물들은 꿈, 야망을 상징하는 것과 , 힘중에서도 우두머리의 힘을 가리키는 것, 부를 상징하는 것과 전투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아 인간이 바라는 점을 고루 갖추다 보려하니 이러한 영수들이 나타난 것이라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신수의 기원은 고대 중국 신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곳에서 사신수는 원래 네 방향의 수호자로 여겨졌습니다. 그것들은 서로 다른 요소와 동물들과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동쪽의 청룡, 남쪽의 주작, 서쪽의 백호, 북쪽의 현무.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신은 도교, 불교, 유교에 통합되었고 그들의 상징은 각 전통의 문화적, 종교적 신념을 반영하도록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도교에서 사신수는 사계절과 오행과 관련이 있는 반면 불교에서는 법의 수호자로 여겨집니다.
한국 신화에서 사신수는 "사주"로 알려져 있으며 태어난 연월일과 시간에 따라 사람의 운명과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어집니다. 청룡(동쪽)은 지성과 창의를, 백호(서쪽)는 힘과 용기를, 주작(남쪽)은 열정과 성공, 현무(북쪽)은 지혜와 장수를 상징합니다.
요약하면, 사신수의 동기는 고대 중국 신화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동아시아 전통의 문화적, 종교적 신념을 반영하도록 진화했습니다. 그것들은 기본적인 방향, 계절, 색상, 특정 특성 및 특성과 연관되며 인간의 운명과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신은 동서남북의 방위를 다스리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 4마리의 영수(靈獸)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사수(四獸), 사상(四象)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이렇게 용, 호랑이, 봉황, 거북이등을 사신으로 한 이유는 오래 살고 용맹한 동물의 상징이기 때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