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는 원래 20개 가까이 행성이 있었다는데 나머지는 다 어디로 간건가요?
천체학 관련 책을 보니까 태양계가 원래 여러 행성이 있었다던데요. 지금은 태양을 제외하고 8개 행성만 남아있잖아요. 나머지 행성들은 다 어디로 사라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에는 현재 8개의 행성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과거에는 추가적인 "행성" 후보들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후보들은 주로 소행성이나 외행성 천체로 분류되었거나, 행성 정의에 따라서 제외되었습니다.
2006년에 국제천문학연맹은 행성의 정의를 새롭게 제시하면서, 행성 후보들을 재분류하고 태양계의 행성 수를 8개로 한정했습니다
1. 태양 주위를 돌면서 직접적으로 태양의 중력에 의해 궤도를 형성해야 합니다.
2.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자체의 중력으로 모양을 유지해야 합니다.
3. 주변 궤도 주위를 청소하여 다른 천체들과 충돌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일부 행성 후보들은 "행성"이 아니라 소행성, 외행성 천체, 혹은 그 밖의 다른 용어로 분류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체학 관련 책을 보신 것 같아서 기쁘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태양계는 원래 여러 행성들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태양을 제외하고 8개의 행성만 남아있는 것이 맞습니다. 이유는 다양한 이유로 인해 나머지 행성들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태양계의 형성 초기에는 태양 주변에 많은 먼지와 가스가 존재했습니다. 이 먼지와 가스는 서로 충돌하면서 행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먼지와 가스가 모여서 태양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이 바로 8개의 행성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먼지와 가스가 부족한 지역에서는 행성이 형성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로 태양계 내부에는 많은 소행성이 존재했습니다. 이 소행성들은 서로 충돌하면서 큰 행성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수성과 금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소행성들의 충돌로 인해 크기가 줄어들었습니다.
세 번째로 태양계 외부에는 강력한 중력을 가진 가스 행성들이 존재합니다. 이 가스 행성들은 태양과 가까워질 때마다 서로의 중력에 의해 행성들이 끌려가면서 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우주 청소'라고도 부르는데 이게 나머지 행성들이 사라진 이유 중 하나입니다.
태양계는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변화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태양계 내부에서 발생하는 운동이나 태양의 자기장 변화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행성들의 궤도를 바꾸거나 충돌을 일으키는 등의 영향을 미치게 되어 나머지 행성들이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태양계의 형성 초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태양계의 변화는 계속해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는 규정된 기준에 따라 행성으로 분류되는 천체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나머지 작은 천체들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다른 천체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천체들은 소행성, 고리나 토성의 위성 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계에는 현재 지구 수성 화성 등 8개의 행성이 있습니다.
예전에 태양계에 20개 이상의 행성이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생성될 때 빅뱅에 의해서 대폭발이 일어나고 가스와 성운이 뭉쳐져서 태양계가 만들어졌습니다.
태양계가 형성된 초기에는 수많은 행성이 서로 충돌하면서 일부 행성은 파괴되거나
다른 행성에 합병되었습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현재의 태양계가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중력에 이끌리기 때문입니다.
태양계의 중력장 밖으로 튕겨져 나간 행성들이 있습니다.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서 다른 항성계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태양이 일부 행성을 흡수하여 그 질량을 증가시켰습니다.
이런 행성들은 현재의 태양의 질량에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가설 중 어느 것이 가장 타당한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고
여러 학설중의 하나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