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도그는강아지
도그는강아지24.01.27

안녕하세요 수면을 못하면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나이
6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안녕하세요 요즘 수면을 잘 하지 못하여 안좋은 영향을 받은거 같아서요 혹시 잠을 잘 못자면 수면제를 처방받아서 먹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수면은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수면 장애 증상이 지속된다면 수면유도제 등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이 경우는 내성이 생기지 않습니다.

    수면환경 개선이나 스스로 노력만으로 호전이 안된다면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 수면클리닉 진료를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시간이 많은데도 잠을 잘 못주무시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수면환경에 대한 평가를 받아보시고 문제가 있을 경우 수면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처방 없이 수면제를 복용할 경우 남용하여 중독될 수 있으니 꼭 진료를 먼저 받아보세요.

    수면센터 진료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불면증이 있으신것 같습니다.

    불면증은 잠을 충분히 얻지 못하거나,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불면증은 일시적 불면증(불면증 증상이 한 달 미만 지속)과 만성적 불면증(불면증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체 인구 중 약 1/3가 일시적 불면증을 경험하고, 약 10% 내외가 만성적 불면증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불면증은 다양한 이차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차적 원인으로는 수면무호흡증, 우울증, 주기적 사지운동증, 하지불안증후군, 약물 남용 또는 금단, 통증 등이 있습니다. 특히, 우울증은 불면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우울증 환자의 60-90%가 수면장애를 경험하며, 만성 불면증 환자 중 25% 이상에서 우울증이 동반됩니다. 만약 불면증의 원인이 의심된다면(예: 수면무호흡증, 주기적 사지운동증),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정신생리적 불면증인 경우, 특별한 이차적 원인이 발견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약물 치료 중에서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여 치료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 치료 옵션으로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멜라토닌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수면제의 경우 3-4주 미만으로 단기간 사용을 권장하며, 장기간 사용 시 내성과 의존 문제에 유의해야 합니다.

    비약물적인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인지행동치료는 불면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정신생리적 불면증에 가장 효과적이며, 정상적인 수면 습관을 형성하도록 도와줍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수면 시간과 수면 패턴을 개선하며, 효율적인 수면 습관을 만들도록 돕습니다. 또한, 잠이 오지 않을 때 침실을 나가서 다른 활동을 하고, 다시 잠이 오면 침실로 돌아오는 방법도 인지행동치료의 일환입니다. 이외에도 올바른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일관된 수면 스케줄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