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는 왜 생명체로 구분되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병원체에 속하는 바이러스는 생물이 아니라고 들었는데 어떤 이유로 인해서 바이러스는 생물에 속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대표적인 병원체 중 하나인 '바이러스'는 엄밀히 말하자면 생명체라고 할 수 없는데요, 이는 생명체는 기본적으로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인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야 하지만,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단백질과 핵산 복합체이기 때문입니다. 즉, 단백질 껍질(캡시드) 속에 DNA나 RNA 중 하나만 들어있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또한 생물은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고 대사 과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지만, 바이러스는 자체적으로 대사 활동을 전혀 하지 못하며, 숙주 세포 밖에서는 화학 반응도, 에너지 생산도 불가능합니다. 게다가 바이러스는 스스로 복제할 효소와 단백질 합성 장치가 없어서, 반드시 숙주 세포의 유전정보 해독·단백질 합성 시스템을 빌려야만 증식할 수 있으며, 숙주에 기생하지 않으면 완전히 ‘정지된’ 상태로 존재합니다. 생물 분류에서 중요한 기준인 성장, 자극 반응, 항상성 유지 같은 기능이 숙주 밖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숙주 세포 안에서만 유전자의 발현과 복제가 일어나기 때문에, 스스로 생명 활동을 지속하는 개체라고 보기 어려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바이러스는 세포막, 세포질, 리보솜 등 세포 소기관이 없어 스스로 물질대사를 하거나 증식할 수 없기 때문에 생명체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모든 생명체는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세포 분열을 통해 번식하지만,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침투하여 숙주의 유전 물질과 에너지, 효소 등을 이용해야만 증식할 수 있는 절대 세포내 기생체입니다. 숙주 밖에서는 단백질과 핵산으로 이루어진 비활성 입자 상태로 존재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구조가 없고, 숙주 세포 없이는 스스로 증식하거나 물질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생물로 분류되지 않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생물은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고, 물질 대사를 하며, 자가 증식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막, 세포벽, 세포소기관 등이 전혀 없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단백질 껍데기 안에 유전 물질만 들어있죠. 또한, 효소가 없어 숙주 세포 없이는 독립적으로 물질대사를 하거나 증식할 수 없습니다. 숙주 세포 밖에서는 단백질 결정체 형태로 존재하며 아무런 생명 활동도 하지 않죠.
이러한 무생물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물로 분류하기 어려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