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마하반야바라
마하반야바라23.03.27

밤잠을 푹못자는 아이 걱정됩니다ㅠ

매시간마다 소리지르면서 저랑 엄마를 찾습니다

정말 아이가 잠을잘 잘수있는 최상에 조건을 해주는데도 매일 울면서 소리지르고 일어나는데요...왜그러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성장 속도가 빨라 자는 동안 성장통이라는 것을 겪기도 합니다.하지만 질문자님의 자녀가 매시간 마다 고통을 느끼는 것은 성장통이라기 보다 다른 경우인거같습니다.주로 편안한 잠자리를 위해 따뜻한 물로 샤워후에 마사지를 해주곤 하는데 그래도 위의 사항이 자속되면 전문가애게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깊은 수면에 들어가지 못해 걱정이 되겠습니다.

    현재 몇 세인지는 모르겠으나 성장기 아이가 밤에 이유 없이 우는 것은 성장통일 수도 있고

    이앓이 시기인 경우에는 통증 때문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낮에 놀라거나 했던 일이 생각나서 울기도 합니다.

    그리고 무서운 꿈을 꿨을 때도 자다가 깨어나서 울 때도 있습니다.

    아이가 밤에 자다가 깨어나서 울면

    간접등을 켜두고 아이가 안정을 취하고 다시 잠이 들 때까지 안아주면 도움이 됩니다.

    성장통인 경우에는 성장판이 있는 무릎, 발뒷꿈치 주위를 마사지해주면 통증 완화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안전하고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엄마나 아빠와 함께 있고 싶어하는 본능적인 욕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아이와 따로 떨어져 자고 계신다면 항상 같은 공간에서 같이 자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을 푹 못자는 이유는 불안하기 때문 입니다.

    또 하나 이유는 스트레스나 하루 중 안 좋았던 경험 때문에 잠을 못 이룰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재울 때는 편안한 상태로 재우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시켜주고 안 좋았던 경험이 있었다면 그 경험을 아이의 머릿속에서 제거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불안해 하지 않도록 아이 옆에서 누워서 아이의 등을 토닥토닥 해주시거나 엄마의 채취가 묻은 옷을 인형에 입혀서 아이에게 안겨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자라나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특정 연령에서 부모님에 대한 집착이 강한 시기가 있습니다.

    그때에는 밤에 아이와 함께 자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아이와 자주 이야기 나누고 스킨쉽도 많이 해주면서 언제든지 부모님이 함께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애착인형이나 담요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 불편하면 위처럼 나타날수있습니다

    부모의 관점과 아이의 관점은 다를수있기에 여러가지로 시도해보는것도 좋으며

    혹은 악몽을 꾸거나 성장통으로 인해서도 나타날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잠들기 전 정서적으로도 안정될 수 있도록 사랑표현도 많이 해주시고 기분좋게 잠들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성장통일수 있으니 다리, 발, 무릎 등을 간단히 마사지해 주세요. 또 단백질과 칼슘을 먹이시면 성장통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가 스스로 잠을 잘 수 있도록 일정한 루틴을 확립해주세요. 일정한 시간에 취침하고 일어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잘 수 있는 안전하고 편안한 장소를 제공해주세요.

    밝은 불을 꺼주고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잠을 잘 수 있도록, 잠들기 전에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거나, 자장가를 불러주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는 모르겠어요

    야경증일 가능성이 커보이는데 야경증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서 서서히 없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무래도 심리적으로 불안하여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가 스트레스가 있는지 트라우마가 있는지 등에 대하여

    원인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낮 활동을 점검해 보기 바랍니다.

    낮에 스트레스 받을만한 일들이 있는지 살펴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혹시 철분 함량이 부족하면 자다가 자주 깨는 아이들이 있으므로, 체크를 해보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컨디션이 너무 피곤해서 일 수도 있고 불안하거나

    불편한 심리 때문일 수 있겠습니다 아이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반응 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잠이 든 후 1~2시간 사이에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강압적으로 하시기 보다는 잠들기전에 다음 것들을 해주세요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조금 노력하면 아이가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 시간이 어느정도 해결해줄 문제 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밤에 잠을 못자고 소리를 지르는 것은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의 체내 스트레스나 불안, 배고픔, 배변활동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해하면 잠을 잘 못 잘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으로는,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기, 애착인형이나 손수건과 같은 안전감을 줄 수 있는 아이템을 준비하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배고픈 경우나 배변활동을 해야하는 경우에도 잠을 잘 못 잘 수 있습니다. 아기가 배고픈 경우, 밤에도 먹이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배변활동을 하는 것도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의 생체리듬을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밤에는 조용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유지하고, 아침에는 밝은 분위기를 유지하며 일어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생체리듬이 맞춰지면 잠을 잘 자게 됩니다.

    만약 이러한 조치를 취해도 아이가 밤에 잠을 잘 못 자고 계속해서 울면, 소아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