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초보입니다. 지갑주소 및 데스티네이션 태그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코인시작한지 한달된 초보입니다.
각 코인마다, 그리고 각 개인마다 지갑주소가 다르다는것을 처음 알게되었는데요.
1.각 주소는 어떻게 산출이되나요? 랜덤으로 영자와 숫자를 조합해서 만들어지나요? 아니면 각코인마다 발행인이 특정 조합을 지정할수 있나요?
2.리플코인이 전송속도가 빠르다고 해서 리플주소를보니 데스티네이션 테그가 있던데 정확히 무엇인가요? 정식주소외에 우편번호같은건가요?? 왜리플만 그게있지요?
안녕하세요.
1.각 주소는 어떻게 산출이되나요? 랜덤으로 영자와 숫자를 조합해서 만들어지나요? 아니면 각코인마다 발행인이 특정 조합을 지정할수 있나요?
지갑마다 생성규칙은 조금씩 다릅니다.아래는 이오스지갑 생성방법입니다.
이오스의경우 계정생성이 유료로 만들수가 있습니다.이오스계정의 경우 계정 구매자가 영어 숫자 abcdefghijklmnopqrstuvwxyz12345
총 31자 내로 원하는 12자리를 임의로 만들수 있습니다.이오스계정의 경우 지갑만드는 투자자가 위에 보이는 영문과 숫자조합으로원하시는 지갑을 만드실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같은 경우는 이오스지갑4개를 만들었는데 그중하나는 doosanbears1 입니다)
다른 지갑주소의 경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경우 지갑 주소를 비트코인의 주소는 공개키를 해시 함수를 적용해서 생성을 합니다.
비트코인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수 있습니다.
http://www.csharpstudy.com/bitcoin/article/2
이더리움 지갑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수 있습니다.
https://steemit.com/kr-dev/@modolee/mastering-ethereum-3
2.리플코인이 전송속도가 빠르다고 해서 리플주소를보니 데스티네이션 테그가 있던데 정확히 무엇인가요? 정식주소외에 우편번호같은건가요?? 왜리플만 그게있지요.
리플만있는건 아니고 스텔라루멘도 데스티네이션 태그가 있고 이오스의 경우 메모가 있습니다.
리플,스텔라루멘의 경우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입력해야 되는데 일부 거래소의 경우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입력안해도 전송이 되는 거래소도 있습니다.
데스티네이션 태그는 송금시 자금이 정확히 전달됐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쉽게 말해 우편번호같은 수취인 주소에 해당이 되는데 거래소별로 입금주소가 같고 데스티네이션 태그가 다른 경우도 있기때문에 필히 데스티네이션 태그를 입력을 해야 빠른 입금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오스의 경우 개인지갑에서 개인지갑으로 전송시에는 개인메모가 없어도 코인전송이 됩니다.그러나 이오스개인지갑에서 거래소지갑 또는 거래소지갑에서 거래소 지갑으로 전송시는 메모를 꼭 입력하셔야 됩니다.메모를 입력해야되는 이유는 거래소 지갑계정이 동일하기 때문에 메모로 입금자가 누군지 확인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