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스티븐최라드
스티븐최라드

애기가 감기걸렸을시 적당한 체온은 얼마나되나요?

애기가 감기걸렸을시 적당한 체온은 얼마나되나요? 병원을가지않아도 되는 적당한 체온이 얼마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반대로병원가야하는체온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8도 이전의 열은 미열이라 지켜보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38도가 넘어가면 열이 나는 거니 38도가 넘어가고 해열제를 먹어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면

    병원을 가보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기초체온이 높기때문에

    일반적으로 37.5도를 정상체온으로 보고있습니다

    때문에 체온과 함께 아이의 증상을 함께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감기에 걸렸다고 하여 고열이 모두 나는 것은 아닙니다.

    고열의 경우 37.5도 이상을 고열이라고 합니다.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 뇌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하니 해열제 등을 먹이시고 체온을 낮추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7.5도가 넘어가면 미열이고 38도가 넘었을 때는 병웡에 방문해 원인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성인보다 체온이

    1~1.5도가 높아요.

    38도 이상이 된다면 아이의 컨디션 등을

    살펴주시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나이대에 따라 다릅니다만

    보통은 38.5도 이상을 고온으로 보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감기에 걸리면 열이 나기도 하고 안 나기도 하지요.

    열이 날 땐 미지근한 물 수건으로 몸을 닦아 줘서 열을 내려야 합니다

    하지만 고열일 땐 38도 이상 정도, 해열제를 투여하고, 열이 내려가지 않으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39도 이상은 자세히 지켜보셔야 합니다.

    해열제 교차복용을 했는데도 열이 떨어지지 않거나

    쳐질 때 식사를 전혀 못 할 때는 병원에 가시는 것이 바람직하지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전문의 들은 38도 까지는 괜찮다 라고 봅니다.

    39도 부터 고열로 보는데요.

    37도 정도면 병원을 가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38도 라면 온도가 갑자기 확 오를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어린 아기라면 체온조절이 미숙하기 때문에 열이 38도를 넘어선다면 즉시 병원에 데리고 가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