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캐리트레딩 때문에 국내증시가 출렁거렸다고 하는데, 엔캐리트레딩이 왜 주가를 움직이며 , 우리나라에는 얼마 정도 되는지요, 엔캐리트레딩 수행주체는 일본인인가요?
최근 글로벌 증시 주가 폭락이 앤캐리트레이딩 청산 때문이라는데요. 앤캐리트레이딩 청산이 왜 주가 변동성을 키우며, 누가 그 트레이딩을수행하나요?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는 금리가 낮은 일본 엔화를 빌려 금리가 높은 다른 국가의 통화나 자산에 투자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일본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일본의 투자자들은 엔화를 빌려 다른 국가의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합니다.
이는 엔화의 수요를 감소시키고, 다른 국가의 통화나 자산의 수요를 증가시켜 해당 국가의 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일본의 금리가 상승하거나, 다른 국가의 금리가 하락하면 엔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엔화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다른 국가의 통화나 자산의 수요를 감소시켜 해당 국가의 주가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 유입된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규모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으나, 2023년 기준 일본인의 국내 상장 주식 보유 금액은 약 16조 2,910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의 수행 주체는 일본인뿐만 아니라, 일본 은행에서 엔화를 빌린 외국인 투자자들도 포함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의 낮은 이자를 이용해 돈을 빌려서, 이자가 높은 다른 나라의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일본이 이자를 올리면서 엔화의 가치가 올라갔습니다. 그래서 많은 투자자들이 빌린 돈을 갚기 위해 급히 자산을 팔아야 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식 시장에서 많은 사람들이 주식을 팔게 되었고, 주가가 크게 떨어졌습니다.
이 거래를 주로 하는 사람들은 큰 금융 기관들인데, 이들은 일본에서 저렴하게 돈을 빌려서 미국 국채 같은 고수익 자산에 투자합니다. 하지만 엔화 가치가 급등하면서 이들의 전략이 실패하게 되었고 자산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앤캐리 트레이딩(엔화 캐리 트레이딩)은 일본 엔화 같은 저금리 통화로 자금을 빌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이 트레이딩이 청산되면, 대규모 매도와 환전이 발생해 주가와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주로 헤지펀드와 투자은행이 이 전략을 사용하며, 자금 조달을 위한 대출이 청산되면 매도 압박이 증폭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