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위용있는불독38
위용있는불독3822.05.07

미국 연속된 빅스텝이 불러올 파장은?우리금리는?

연준이 빅스텝을 결국 내딛었네요. 그러나 문제는 두어번 더 빅스텝을 밟을 거라는 예상과 자이언트 스텝에 대한 두려움과 긴축이 시작될거라는 것인데요.

파월은 경기침체없이 연착륙이 가능힌다는데 자산시장은 그렇게 보지 않는 듯합니다.

주식, 채권, 실물경제에 미칠 파장이 만만찮아 보입니다. 한국은행도 이에 대비해야할텐데 기준금리 연속인상으로 국내경제에 부정적 파장이 예상이되는데요,

경기침체는 불가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국 뉴스에서도 말하지만 우리가 금리를 안 올리면 국내시장이 매력도가 떨어져서 외인들이 엄청나게 나갑니다. 따라서 어쩔 수 없이

    우리나라도 미국보다 한 발 앞서서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에 따라 같은 상황에서도 전문가들 의견도 각자 다르고요. 현재 상황에서 전문가들의 다수 의견은 중국 코로나 봉쇄와 우크라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코로나로 인해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풀린 상황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경제활동 재개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나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연준이 금리를 계속 올릴수밖에 없고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라 우려하고 있습니다.


  •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여파로 원유 및 곡물이 정상적으로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소비자물가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와더불어 금리인상은 더욱더 경제에 불안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연이은 금리인상과 향후예정된 금리 인상에 한행은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부담감등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준이 7월에도 0.5%p 또는 0.75%p 인상 금리인상을 예고한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올리지 않으면 한·미 금리역전이 불가피합니다. 한국은행이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0.25%p 올릴 경우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연 2%가 되는데, 연준이 같은달 금리를 0.5%p 이상 올리면 미국 금리 상단이 2.25%로 높아지면서 사실상 금리 역전이 현실화됩니다.

    한·미 금리가 역전되면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고,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가파른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에 따른 금리역전 현상을 최대한 늦추기 위해 연말까지 연속으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장 다음달 금통위에서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단기적으로는 주식이나 부동산, 가상화폐 등 자산시장에 악영향을 불러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인상되었고 계속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금리역전이 발생할 우려를 없애기 위해 금리인상에 대한 압박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금리인상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경제는 오히려 정상적인 경제상황에 왔다고 받아들여 다시 주식 등의 자산가격이 높아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