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란 어떤 상황에 쓰여지는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미시경제학과 심리학 쪽에서 나오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경제학적으로 이 용어는 어디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지는

용어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경제용어이긴 하지만 간단한 예시로 이해하시려면 우리가 뷔페를 가서 식사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

      첫 접시에서 느끼는 효용이 제일 크고 그 다음 접시가 될수록 효용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10접시를

      무리하게 먹게될 경우 효용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현상을 말합니다 즉 하나의 재화나 서비스 단위를 추가할 때 마다 받는 효용은 갈수록 체감하는 것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소비자의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따르면, 소비자는 추가적인 소비로 얻는 만족이 얼마나 되는지를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합니다. 이는 소비자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최대의 만족을 얻기 위해 선택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경제학과 심리학에서 모두 중요한 개념으로 다뤄지며, 소비자의 선택 및 만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쉽게 말해서 동일한 효용이 지속되면 그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것으로써, 뷔페를 예로 들면 첫 접시를 먹을 때는 아주 맛있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접시로 갈수록 만족도가 떨어지는 게 대표적인 실생활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 한계체감효용의 법칙은 소비자가 소비하여 획득하는 재화의 단위가 많아질수록 그 단위를 획득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의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란 인간이 상품을 소비할때 소비하는 갯수가 늘어날수록 만족도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과자를 먹을때 처음먹는것은 만족도가 100, 두번째 먹는것은 70, 세번째는 30정도로 만족도가 떨어지는게 많습니다.

    이것을 경제적으로 표현하면 만족도를 지불할수있는 금액으로 나타낼수도 있씁니다.

  • 이 법칙은 소비자가 추가적으로 소비하는 각 단위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감소한다는 원리를 말합니다. 즉, 처음에는 소비자가 소비하는 양이 증가할수록 만족도도 증가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추가적인 소비로 인한 만족도 증가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 쉽게 설명하면 배가 고플때 사과를 1개 먹으면 효용이 가장 높고 2개를 먹을때는 효용이 떨어집니다. 사과의 소비량이 2개에서 3개 4개 계속 늘어날수록 효용이 떨어지고 나중에는 마이너스까지 가는 것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이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어떤 재화의 소비자가 재화 1단위당 얻는 효용의 증가분(한계 효용)이 점점 줄어드는(체감; 遞減)현상을 지칭합니다. 쉽게 말해 무언다에 '질리는' 것이다. 발견자의 이름을 따 '고센의 제1법칙'이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