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의 한국의 경제 동향이 정말로 궁금합니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의 부채는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돈 낭비도 많이 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앞으로의 한국의 경제 동향이 정말로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도
선진국 반열에 들어오는 등 이에 따라서
어느정도 저성장 국면에 들어섰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 한국 경제는 몇 가지 중요한 도전과 기회가 함께 존재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에는 수출이 반등하면서 경제 성장률이 약 2.3%~2.6%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의 회복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가계 부채 문제는 여전히 큰 부담이 될 겁니다. 높은 가계 부채와 인플레이션 부담은 소비와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정부는 내수 활성화와 기술 투자 등으로 경제 성장을 지속적으로 촉진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경제는 당분간 성장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 최대 산업인 반도체 산업이 역경을 겪고 있는 것이 주 원인이며, 우리나라는 특히 다른 나라의 경제 상황에 많이 좌지우지 되는데 중동전쟁이라던지 여러 가지 국제 정세로 인해 당분간은 힘들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 정부까지 우리나라는 국방비용 증가 외화 보유고 증가 정부 부채 50% 대로 안정적으로 국가 운영을 해 왔습니다 이번 정부에서 돈 낭비를 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지만 크게 문제가 될 것은 저소득층이나 복지 비용이 빠지는 것뿐입니다 정부 부채도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여지고요 친한 정부에 비해서 서민과 노동자들 편에든 정부의 반대적인 방향으로만 가고 있기 때문에 부유층들은 만족해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 한국의 경제 동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지금 이대로 가게 된다면
내수는 더욱 침체 되고 이로 인해서
경제성장률은 저성장이거나 마이너스 성장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말씀해주신대로 우리나라 부채 수준이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지고 있는데요. 부채를 줄이는 정책도 없고, 그렇다고 나라살림이 서민일 위해 쓰이는 것도 아닌 것 같아 미래세대의 부담이 더더욱 가중될 것이 우려됩니다. 수출위주의 산업으로 경제를 이끌어가야하는데, 정부에서는 거의 손을 놓고있는 것이 아닌가할 정도로 무대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루빨리 국가와 국민을 위한 정책과 부채를 줄이는 방안이 마련되어 경제를 잘 이끌어 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