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미국 월가와 연준에서 금리인상 언급과 금리인하를 내년으로 미뤄야하는 전망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배경이 무엇인가요?

최근 며칠동안 미국 월가와 연준에서 기준 금리인상 언급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잇으며 연준에서는 금리 인하를 내년으로 미뤄야하는 이야기도 속속나온다고 들었습니다.

왜 갑자기 기존과는 달리 긴축 전망으로 노선이 바뀌는흐름이 나오는것인지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 월가와 연준에서 금리인상 기조가 강화되고 있는 주된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가상승률 지속

      2023년 들어서도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해 더 강력한 긴축 필요성이 대두된 것입니다.

      2. 고용지표 호조

      고용시장이 여전히 견조하면서 소득에 따른 소비 지출 능력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는 수요측면에서 물가상승압력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3. 물가 기대심리 확산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기업과 소비자의 물가상승 기대심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임금과 가격 인상이 자가발전적으로 이뤄져 인플레이션이 뿌리내리게 됩니다.

      4. 금리인상 효과 의구심

      그동안의 금리인상으로는 아직 충분한 물가안정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연준은 물가상승률을 2%대로 낮추기 위해서는 금리인상 기조를 예상보다 더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지나친 경기둔화 우려보다는 인플레 억제에 주력하는 강경 스탠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월가와 연준이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내년으로 늦추어야 한다는 전망을 내놓는 것은 AI반도체 및 기업들의 원유 수요 증가와 이란-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한 원유 공급 차질 우려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율이 재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물가가 예상외로 잡히지 않고

      더불어서 최근 중동지역의 분쟁 등으로 인하여

      이에 따라서 원유의 가격이 더 오를 여지가 크고

      이에 따라서 금리인하 등이 내년으로 밀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올해 초만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이 잡히는듯 했지만 최근 발표되는 CPI를 보면 다시 상승하고 있으며

        유가도 전쟁이슈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금리를 지금 당장 잡을 수 없습니다.

      • 금리를 지금 내리면 다시 인플레가 고개를 들며 미국 달러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내년으로 미룰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주로 물가지표에 의존합니다.

      미국 금리를 정하는 목표가 물가상승률 2%를 목표로 하고 있기때문입니다.

      그런데 올해 초부터 물가상승률이 점점 올라가더니 3월에는 제조업경기, 소비자물가지표 등이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이 뒤로 미뤄지고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연준이 제어 가능한 물가 수준인 2%에 이르지 못하고 3% 내외로 아직까지도 높기 때문이니다. 이는 에너지와 주택 가격이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최근 중동 국지전 등의 영향이 큽니다.

      아울러 원자재와 곡물 대형 수출 국가들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은 장기전의 태세이고 주요 자원 부국들이 자국 이익을 위해서 수출량을 조절하며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글로벌 고물가의 장기화를 예상케 합니다.

      또한 국제 거래 결재 시 사용하는 미달러의 초강세도 수입 물가 상승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