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교통사고 과실 이미지
교통사고 과실보험
교통사고 과실 이미지
교통사고 과실보험
윤자매아빠
윤자매아빠23.03.08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나게 되면 어떤 조취를 해야 하나요?

일반 도로가 아닌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나게 되면 어떤 조취를 취해야 할까요?

신호가 있는 것도 아니고 차들이 너무 빨리 달리기 때문에 쉽게 차에서도 못내릴것 같은데

아직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나본적은 없지만 생각해보면 무섭습니다.

특히 2차사고가 났다는 사람들도 많아서요..

어떤 조취를 취해야 안전하게 잘 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이동주차하시어 2차 사고를 예방하셔야 합니다.

    갓길등 안전한 장소로 이동주차하시고, 이후 후방에 사고표지판 즉 삼각대등을 설치함으로써 후방에 진행하는 차량에게 차량이 있음을 알려주는 조치를 해야 합니다.

    이후 보험사에 사고접수하시고 현장출동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8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블랙 박스 등 영상이 있다면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시고 보험회사에 연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긴급 견인이 필요할 경우 고속도로관리공사에 연락하시면 가까운 휴게소 등 안전한 곳까지 긴급 견인을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고속 도로 등 차량이 빠른 속도로 달리는 곳에서 사고가 나면 2차 사고로 더 큰 부상을 입을 수가 있기에 비상 등을 켜고 트렁크를

    여는 등 후방 차량에게 1차 사고를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삼각대를 설치하러 사고 전방으로 걸어가서 설치하는 것이 더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도로 공사나 경찰(고속도로 순찰대)에 사고 사실을 접수한 후에 안전한 가드레일 바깥으로 피신하여 사고 전방으로 와서

    플래쉬를 흔들거나 옷을 흔들어 앞 쪽의 1차 사고를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