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Fravend
Fravend

내 자식만 오냐 오냐 하는 가정교육 방식이 좋은걸까요?

요즘에는 한명 많이 낳아야 두명 낳다 보니 한명한테 전부 애지중지 보물 모시듯이 그렇게 키우는데요

과연 이런식으로 키우는게 맞는건지 싶어서요 중국 사람들이 이런식의 교육을 해서

공공장소에 가서도 소리지르고 자기만 알고 하는 사회가 되버렸거든요

한국도 정이 많은 나라 라고 했는데 정도 없고 나만 아는 국가가 될까봐 걱정인데

과연 이런식으로 내 자식만 오냐 오냐 하는 교육이 좋은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내 자식만 오냐 오냐 하는 가정교육은 옳지 않습니다.

    과거도 그렇고, 현재도 그렇고 오냐 오냐 애지중지 하면서 아이를 케어하고 아이를 교육하는 것은 아이의 성장에 올바르지 않아요.

    오냐오냐 하는 부모님의 가르침으로 인해서 아이는 사회 적응력에 어려움을 겪으며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 역시도 힘들 수 있습니다.

    내 감정만 앞세우고 ,타인의 감정을 외면한채 독불장군으로 살아갈 수 있어요.

    사회라는 울타리는 협동,배려.존중, 마음이해, 감정공감이 우선적으로 되어야 합니다.

    남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기주장만 앞세우는 기질적 성향이 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아이를 오냐오냐 하며 가르치긴 보다는 아이가 잘못한 행동은 그 즉시 짚어주고 바로 잡아주면서 아이가 건강한 마음, 건강한 정신으로 바르게 자라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내 자식만 애지 중지 키우게 되면 아이는 친구들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타인을 배려하지 않게 되고, 이는 사회성이 부족하게 될 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능력이 부족해질수 있으며 문제해결능력이나 독립성을 기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내 자식만 오냐오냐하는 가정교육 방식은 단기적으로는 아이에게 사랑과 관심을 주는 듯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여러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말씀해주신대로 부모의 적극적인 양육 태도가 무조건 부정적인 것은 아닙니다. 분명 아이의 신경 써 줄 요소들을 하나하나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합니다. 다만, 지적해주신 것처럼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아이를 신경쓰게되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아이가 대처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적당한게 최고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녀를 과도하게 애지중지하는 가정교육 방식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은 자녀에게 무한한 사랑과 지지를 제공하여 자신감을 키울 수 있으며, 안전한 환경에서 자라날 수 있습니다. 단점은 과도한 보호는 사회성과 자기조절 능력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자녀가 공공장소에서의 행동이나 타인에 대한 배려를 배우는 것도 중요하므로,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사랑과 규칙, 사회적 책임감을 함께 가르치는 것이 좋은 방향일 것입니다. 부모로서의 역할은 자녀에게 사랑을 주면서도 자율성과 사회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자녀를 오냐오냐 키우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어린이의 소중함을 나눌 수 있지만, 장기적 차원의 책임과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공개 장소에서 무질서나 이기주의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사회 전체의 정이 휴식 분위기를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당연히 좋지않습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도 잘잘못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우며 대인관계에 있어 필요한 존중과 배려를 배우기 힘들기때문이죠. 내가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한것을 알고 이를 실천하는법도 배워야 한다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