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겨울철 자동차 유리창에 생긴 성에가 따뜻한 바람에 의해 사라지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겨울철 자동차 유리창에 생긴 성에가 따뜻한 바람에 의해 사라지는 과정은 상변화와 분자 운동 에너지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겨울철 자동차 유리창에 생긴 성에가 따뜻한 바람에 의해 사라지는 현상은 고체 상태의 물이 기체로 바로 변하는 승화과정 때문입니다.
겨울철에 유리창 표면 온도가 낮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고체 상태로 바로 달라붙으며 이것이 바로 성에인데요 즉, 성에는 고체 상태의 물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수소 결합 구조를 이룹니다.
따뜻한 바람이 유리창에 닿으면, 공기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성에 표면에 열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 열 에너지는 성에 속의 물 분자들에게 전달되어 융해, 승화가 나타나며 자동차 유리창에서는 두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기도 합니다.
또한 온도가 올라가면 분자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는데요 따뜻한 바람이 불면 물 분자들이 더 활발하게 진동하고 고체 상태에서 서로를 단단히 묶고 있던 수소 결합이 끊어지면서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고체 → 액체 → 기체로 갈수록 분자 운동 에너지가 점점 커지고, 상호 간 인력은 약해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유리에 성에가 생기는 이유는 안과밖의 기온차에 의해 생기는것입니다 유리에 직접 따뜻한바람이 닿으면 온도차가 줄어들어 없어지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