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2000년대 중반 버블7에서 경기도 버블세븐의 중심지가 용인이었던 이유가 뭔가요?

과거 부동산의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데 2000년대 중반에 버블7이라고 불렸던 지역이 있었다고 하더군요.

근데 2000년대 중반 버블7에서 경기도 버블세븐의 중심지가 용인이었던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서 말씀하시는게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부동산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한 7개지역을 지징하는 부동산 버블 세븐지역을 말하는듯 보입니다,

    해당 지역은 서울 강남3구와 양천구, 경기도내 분당과 평촌, 용인수지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용인 수지구의 경우 2008년이전까지 부동산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던 이유는 2000년대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으로 조성한 아파트가 몰려있는 지역으로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어 서울과 근접성면에서 유리한 점과 분당과 붙어 있었기에 가능한 부분이였습니다. 그래서 강남기준 접근성은 분당과 더불어 강남대체지역으로써 부자들이 대규모 유입된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격은 하락하였으나, 2019년 12.16 부동산 대책 발표이후 발생된 풍선효과에 힘입어 주택수요가 몰리면서 수.용.성 중 하나로써 큰 폭의 주택가격 상승이 다시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2000년대 초반 서울의 높은 집값을 피해 사람들이 경기도로 이동하면서 수도권 확장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용인은 서울과 가깝고, 교통 인프라 개선이 진행 중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 중에 하나였습니다. 실제 2000년대 중반 용인은 대한민국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이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가까운 수지, 죽전, 기능의 경우에 아파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분당과 강남권으로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강남권 수요가 유입되면서 용인 지역의 가격이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저금리와 대출 규제 완화로 투기 수요가 폭발하기도 했습니다. 새 아파트 공급이 많아 청약 열기가 뜨거워졌고 투자자들이 몰려들면서 가격이 폭등하게 됩니다. 이에 수지, 기흥, 죽전 일대의 신규 분양 아파트들은 프리미엄이 붙으면서 가격이 폭등하게 됩니다.

    결국 용인은 강남과 접근성이 뛰어나 수요가 많아졌고, 신도시 개발이 활발해 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가격이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2000년대 중반 버블세븐 중에서도 용인이 가장 큰 상승을 보이며 중심지 역할을 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용인은 그 당시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이는 집값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또한 경부고속도로, 서울-용인 간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와 분당선 연장으로 교통망이 확장되었고 서울 및 분당과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용인은 서울과 가까워 서울에서 빠르게 이주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아서 주택 가격이 급등하여 버블이 발생하여 위와 같은 버블 세븐 지역으로 편입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2000년대 중반 부동산 시장에서 버블세븐이라 불린 지역 중 경기도의 중심지는 용인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대규모 택지개발과 교통 호재, 서울 접근성 등 여러 요인이 맞물렸기 때문입니다.

    당시 용인은 수지, 기흥, 동백 등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서울과 가까운 입지적 장점이 부각되었습니다.분당과 인접해 있어 분당의 높은 집값을 감당하기 어려운 수요층이 대거 유입되었고, 경부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신분당선 연장 등 교통망 확충이 예고되면서 미래가치가 크게 평가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대감 속에서 용인의 아파트 가격은 급등했고 당시 정부가 발표한 8.31 부동산대책(2005년)에서 강남, 목동, 분당과 함께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며 버블세븐에 포함될 정도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하지만 이후 공급 증가와 거품 논란이 이어지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격 조정이 크게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