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SS와 ASS 차이는 무엇인지요?
전기에서 자동고장구간개폐기가 있는데 영어 약어로 AISS가 있고 또 ASS가 있는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이며 영어로 풀 스펠링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AISS와 ASS는 전기 분야에서 자동 고장 구간 개폐기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다음은 각각의 약어와 그 의미에 대한 설명입니다
1. AISS: Automatic Isolating Switching System
- 풀 스펠링: Automatic Isolating Switching System
- 의미: AISS는 전기 회로에서 고장 발생 시 자동으로 해당 구간을 고장 구간으로부터 격리하고, 전원을 차단하거나 전기 회로를 다른 경로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력 공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2. ASS: Automatic Sectionalizing Switch
- 풀 스펠링: Automatic Sectionalizing Switch
- 의미: ASS는 전력망에서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자동으로 분할하는 스위치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스위치는 전력 회로를 섹션으로 나누고, 고장이 발생한 섹션을 차단하여 전력 공급의 안전성을 유지합니다.
AISS와 ASS는 전기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약어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의미는 사용되는 맥락과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특정 시스템 또는 업계에서 사용되는 의미를 확인해야 합니다.
AISS (Automatic Isolation and Short-circuiting System):
AISS는 전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자동 격리 및 단락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기 고장 발생 시 자동으로 전기 회로를 격리하고 단락을 찾는 시스템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ASS (Automatic Switching System):
ASS 역시 전기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자동 스위칭 시스템" 또는 "자동 전환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전력 공급원 간의 자동 전환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가리킬 수 있습니다.
두 약어 모두 전기 및 자동화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의미는 사용되는 문맥과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특정 시스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영어로 풀 스펠링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Automatic Isolation and Short-circuiting System" 및 "Automatic Switching System"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에서 자동고장구간개폐기는 영어 약어로 AISS와 ASS가 있습니다.
AISS(Automatic Intelligent Sectionalizing Switch)는 자동지능형구간개폐기의 약어로,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능과 함께, 고장의 원인을 진단하고 정전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개폐기입니다.
ASS(Auto Sectionalizing Switch)는 자동구간개폐기의 약어로,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개폐기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AISS : Air Insulated Fault Section Automatic Switch
옥내용 고장 구간 자동개폐기이며, AISS는 구조 방식에 따라 피스톤 type 과 칼날식 type 으로 분류 되고 FUSE 부착형과 비 부착형으로 구분 하며 취부 방식에 따라 수평형과 수직형이 있습니다. AISS는 일반적으로 22.9KV 선로의 일체형 배전반 주 차단기로 많이 사용 되고 형식은 25.8KV 200A 15KA 정도가 됩니다. 교체시에는 가능 하다면 동일 maker 것으로 하는 게 좋고 같은 maker 라고 할지라도 치수에 차이가 나므로 사전 확인작업이 필요 합니다.
ASS : Automatic Section Switch,
자동고장구분개폐기이며, 수용가 수전설비에 지락 및 과부하사고 등이 발생시 한전선로로부터 분리시켜 해당 수용가에 사고를 국한시킴으로서 타 수용가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공급선로측의 리클로저 등과 보호협조관계를 이루며 고장구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800[A] 미만의 지락, 과부하전류에 대해서는 ASS가 즉시 선로를 자동 차단하고, 그 이상의 전류가 검출되면 차단을 보류하고 있다가 전원 측의 리클로저가 1회 순시동작하여 선로가 무전압상태가 되었을때 고장구간을 한전선로에서 분리하여 줍니다. 리클로저는 동작하고 약 2초 후에 재투입되어 건전상의 수용가에 정상적으로 전력공급을 재개 합니다. 정전횟수는 ASS가 아니라 리클로저가 감지하여 3회 재투입 후에도 고장전류가 계속 흐를 경우 선로를 완전히 분리해주어 해당 리클로저 2차측에 있는 수용가들이 모두 정전 피해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사고파급 방지 차원에서 ASS와 리클로저의 보호협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