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건강상담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24.04.02

족적근막염의 원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치료하나요?

나이
3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족적근막염은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 건가요?

그리고 족적근막염은 무리하지않으면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는 병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기본적으로 말씀대로 발바닥에 많은 자극이 되면서 족저근막에 생긴 염증이 주요 원인이며 말씀대로 푹쉬는고 자극 주지않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소염진통제, 스트레칭, 마사지등 보존적인 치료해보고, 스테로이드 주사, 체외충격파 시술,, 정 안되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우선 족적이아니고 족저입니다.

    원인은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는게 주이론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존적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분들은 1~2년 증상 지속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우선 휴식을 취하시면 치료가 됩니다. 가장 좋은 치료입니다

    원인은 단순하게 과사용입니다.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것이죠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불편한 신발이나 발의 구조적인 문제 등의 요인으로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통증이 심한 상황에서는 체외충격파치료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편입니다. 평소엔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통증을 조절해보실 수 있으니 유튜브에서 검색해보시고 따라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족저근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과도한 운동, 오래 서 있는 일, 잘못된 자세, 비만, 평발 또는 요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자연 치유되기 어려우며,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휴식, 얼음찜질, 스트레칭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면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교정용 깔창이나 신발 교체도 도움될 수 있습니다. 만성화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무래도 과도한 발의 사용 및 자극에 의해서 발생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족저근막염은 생각보다 쉽게 좋아지지는 않지만 최대한 휴식을 해주고 관리를 하는 것이 회복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은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아져 평발이라 불리는 편평족이나, 아치가 높은 요족(cavus) 변형이 있는 경우에는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다리의 길이 차이, 발의 과도한 회내, 하퇴부 근육의 구축 또는 약화 등도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족저근막에 뼈조각이 튀어나온 경우도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보다는 발의 무리한 사용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즉,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하거나, 장거리 마라톤이나 조깅과 같은 발바닥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운동을 한 경우, 과체중, 장시간 서 있기, 딱딱한 구두를 신거나 하이힐을 착용하는 등 족저근막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당뇨병이나 관절염 환자에서도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원인 제거 및 교정: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신발 착용 등을 교정하여 원인을 제거합니다.

    스트레칭: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을 효과적으로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시행합니다.

    보조기: 뒤꿈치 컵과 같은 보조기를 사용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부종이 동반된 급성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충분한 보존적 치료 후 호전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족저근막을 수술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관절경을 이용한 족저근막 절개술도 시행됩니다.

    경과 및 합병증으로는 족저근막염이 천천히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고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무리한 운동량, 불편한 신발 착용을 피하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발을 쉬게 하고 냉찜질을 하여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