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비 라는게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버지가 소유하신 땅을 처분하시면서 부동산에 복비로 얼마를 줬다고 하시던데
복비는 무엇이며 얼마를 주는것이 적당한선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고래로 부동산을 거래할 때에 복과 덕을 나누는 곳인 지금의 중개소에 해당하는 복덕방에서 했는데, 그 때 주고 받는 수수료를 복덕방비라하고 이를 줄여서 복비라 하여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복비라는 것은 부동산 현장에서 흔히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서,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의미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각 시 ㆍ도의 조례로 정하는데, 부동산 토지나 주택 상가 건축물의 매매. 임대차.교환의 거래 방식과 거래 금액에 따라 일정하게 정해진 요율표에 따라 중개사무소에 지급하는 것입니다.
즉, 복비=부동산 중개수수료는 거래금액별로 상한 요율 이내에서 중개의뢰인과 개업공인중개사가 서로 협의하여 중개보수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갈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복비는 중개수수료라고 합니다. 이전에 부동산을 복덕방이라고 불렸으며 어르신들은 복덕방에 방을 내놓고 복비를 챙겨준다고 하여 복비라고 말하셨을 겁니다.
요즘에는 부동산 및 공인중개사 그리고 중개수수료라고 말하며 수수료 요율은 있으나 일정금액 선에서 공인중개사가 계산하여 받습니다. 부동산 물건마다 지역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복비" 는 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이르는 말로 흔히 쓰는 말입니다.
과거에 부동산을 "복덕방" 이라고 칭하였기 때문에 복덕방비 를 줄여서 복비라는 말이 생겼다고 합니다.
아울러 중개보수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중개보수는 네이버 들어가셔서 중개보수 검색하시면 계산기가 나오는데 해보시면 편하실겁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복비는 부동산거래시 발생하는 중개수수료를 말하는 업계 용어입니다. 예전에는 공인중개사사무소를 "복덕방"이라고 불렀으며 "복비"는 여기서 파생된 단어라는 설이 있습니다.
중개수수료(복비)는 정해진 고정금액이 아닌 거래금액에 따라 변동되는 비율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토지의 경우 매매금액의 0.9%를 중개수수료로 수취합니다. 이는 법으로 정해진 사항입니다.
토지 매도시 중개수수료 예를들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억 토지 매도시 : 90만원 (1억*0.9%)
10억 토지 매도시 : 900만원 (10억*0.9%)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을 통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수수료는 아래와 같이 법으로 상한요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제20조(중개보수 및 실비의 한도 등) ① 법 제32조제4항에 따른 주택의 중개에 대한 보수는 중개의뢰인 쌍방으로부터 각각 받되, 그 일방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한도는 별표 1과 같으며, 그 금액은 법 제32조제4항에 따라 시ㆍ도의 조례로 정하는 요율한도 이내에서 중개의뢰인과 개업공인중개사가 서로 협의하여 결정한다.<개정 2014. 7. 29., 2021. 10. 19.>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복비는 예전 중개사무소가 복덕방으로 불리던 시절에 쓰던 단어로써 현재는 중개수수료를 법적용어로써 "중개보수"라고 합니다. 말처럼 사인간의 부동산 계약에서 매수,매도자를 연결시켜 거래를 성공시킴으로써 그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부분이라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얼마가 적당한가는 법적으로 최고요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즉 본인이 주고싶은데로 주거나 할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이유는 공인중개사도 부동산중개를 업으로 하는 전문인으로서 자격을 갖추고 지자체에 등록한 사업자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경우 매매시 거래금액의 0.5%, 전월세 0.4%, 주택외 경우는 0.9% 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인중개사법 제2조(정의)에서 정의하는 ‘중개’란 중개 대상물에 대해 거래 당사자 간의 매매·교환·임대차 그 밖의 권리의 득실 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공적장부의 해석,분석,안전한 거래 등에 대한 대가를 중개보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매매,임대의 각각 금액별로 중개보수 요율이 다릅니다.
중개보수가 궁금하실 때 네이버에서 부동산수수료계산으로 검색하시면 당해 중개수수료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