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항상 따뜻하고 활달한 고슴도치
항상 따뜻하고 활달한 고슴도치

자녀 양육 시 사과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십어요.

올 해 4살 여아를 키우고 있습니다. 내향적이긴 하나 평소에 애교도 많고 저와 사이도 굉장히 좋아요.근데 고집적인 성향이 어느정도 있기도 합니다.

사건은 오늘 딸이 굉장히 짜증스럽게 여러 번 제게 말을 해서 짜증낸거 사과했으면 좋겠다고여러 번 이야기하고 시간을 줬는데도 잠들기 전까지도 끝까지 사과하지 않네요.

이럴땐 그냥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게 좋나요? 끝까지 사과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게 좋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아직 어려서 본인의 감정 컨트롤이 어려운거 같네요 본인도 부모님께 사과하고 싶지만 감정조절이 안되서 사과를 안한거 같으니 사과를 강요하지 마시고 대화를 통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나이가 먹으면 먹을수록 고집이 세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를 제재하는 방법으로 훈육을 열심히 해주시긴 해야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본인이 원하고자 하는것을 얻기 위해서 계속해서 화를 내고 뗴를 쓰게 되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훈육을 해주시고 잘못을 했을 경우에는 사과를 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적을 하고 하도록 PUSH를 해주셔야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고, 고집이 심하다면 이는 좋지 않은 버릇 이겠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고. 고집을 피우는 것에 대한 것을 끝까지 사과를 하지 않는다면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고 고집을 피운다면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짜증을 내며 고집을 피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짜증을 내고 고집을 피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눈높이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이는 항상 배우는 존재입니다. 누군가를 모델링해서 배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에게 사과의 중요성을 가르치려면 부모님이 사과의 상황이 생길 때 사소한 실수라도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배울 수있습니다. 그리고 일정한 루틴으로 사과의 필요성과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고 감정을 이해하며 공감하는 대화도 나눠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아이가 사과 할때 까지 너무 강요하지 ㅁ라고, 감정이 가라앉은 후 차분하게 대화하여 스스로 사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시는것도 도움이 되실겁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짜증냈던 부분에 대해 부모님께서 사과하라고 말을 하면 어린아이들은 자기의 잘못을 잘 모를수 있기 때문에 사과를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께서 사과하라고 하는말을 아이가 모른체 한다면 말을 밖으로 꺼냈기 때문에 그냥 지나치면 문제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이를 앉혀놓고 상황설명을 하며 어떻게 행동을 해야하는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아이에게 무조건 사과하라고 하기보다는 어떤 행동을 잘못했는지, 잘못했을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가르쳐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도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자녀에게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부모의 모습을 보고 잘못했을때 사과하는 모습을 보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나이를 고려하면 짧은 대화로 감정을 이해시키고 사과의 중요성을 알려주는게 중요합니다. 강요보다는 아이가 자연스럽게 배우도록 유도하는게 좋습니다. 긍정적인 행동을 보일 때는 칭찬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성장해나감에 따라서 점차 고집이 세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에게 사과를 강요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우선적으로 아이의 감정적 상태를 현재 공감해주시고 다독여 주시면서 풀어주시는게 우선입니다. 무엇때문에 아이가 짜증을 내게되었는지 그것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꼭 나눠보셔야 합니다. 부모님께서 사과를 받는 것이 주목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