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TSMC가 미국에서 반독점법에 걸릴 위험이 얼마나 높고 이로 인한 피해가 어떻게 될까요
트럼프가 지속적으로 TSMC를 규제하고 압박하는데요
그렇다면 미국에서 반독점법에 걸릴 위험이 얼마나 높고 이로인해 피해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독점법을 무기로 트럼프는 대만과의 협상 카드로 TSMC를 선택한 모습입니다
TSMC는 대만의 구조상 핵심적인 제 1기업입니다 이 기업이 흔들리면 대만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무기로 삼아 외교에 나설 전망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미국이 반독점법을 걸어 TSMC를 위협한다기 보다는 압박용 카드라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TSMC는 미국에서 독점적 지위를 이용한 시장 왜곡 행위가 없다면 반독점법에 걸릴 위험은 낮으며, 글로벌 경쟁업체와의 시장 점유율 분포도 주요 고려 사항입니다. 반독점법 위반 시 막대한 과징금과 사업 제한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tsmc가 미국에서 반독점법에 걸릴 위험은 상당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tsmc가 중국 화웨이에 첨단 반도체를 공급한 사실에 대해 조사 중이며, 이로 인해 tsmc의 미국 기술 접근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tsmc와 주요 고객사인 애플, 엔비디아 등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독점 규제의 강화는 tsmc의 시장 지배력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tsmc는 현재 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정부가 tsmc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특히, tsmc의 높은 제조 단가는 미국 빅테크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사들이 대안을 모색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규제는 tsmc의 생산 비용과 계약 조건에 영향을 미쳐 수익성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tsmc의 어려움을 기회로 삼아 고객 확보에 나설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smc는 향후 반독점 규제와 관련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적지않다고 보입니다. tsmc에 대해서 반독점법이 주시하고있는데
미국에서 실제 반도체 독점으로 가격이 너무 올라서 많은 빅테크들이 불만이 있기때문에 가능성 절반이상이라고 봅니다.
다만 시간이 워낙 오래걸리고, 최종판결전에 합의하는 분위기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미국의 반독점법(anti-trust law)의 경우 소비자와 직접 맞닿아 있는 회사가 대상인데 TSMC의 경우 애플이나 엔비디아 CPU & GPU를 위탁생산하는 파운드리 업체입니다. 법해석에 있어 논란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대만 수출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해당 업체가 많은 수익을 거두는 것에 대한 반발심리 정도인데 이에 대한 회피 전략으로 TSMC의 경우 미국 내 투자를 늘리는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습니다.
본 사안은 좀 더 지켜 봐야할 듯합니다. 해당 법 논리로는 TSMC를 규제하기에는 무리수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TSMC가 ‘미국의 반도체 기술을 빼앗아 성장한 기업’이라는 비판을 지속 해왔기 때문에 반독점법에 저촉될 가능성이 매우크며, 이에 따라 다른 경쟁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