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

나라별 바다물 색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티비를 보다보면 동남아 또는 유럽대비 한국바다는 상대적으로 색이 탁해보이는데요. 오염도에 따라서 그런것인지 다른이유가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물의 색이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바다물의 색은 그 지역의 해양 생물들이나 해양 식물들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남아 지역은 열대 지역으로 따뜻한 기후에 적합한 해양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기 때문에 바다물의 색이 탁해보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바다물의 탁도가 있습니다. 바다물은 해양 생물들의 배설물이나 부식된 해양 식물들로 인해 탁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탁도는 바다물의 색을 탁하게 만들어 보이게 합니다. 특히 유럽 지역은 바다물의 탁도가 높아서 색이 더욱 탁해보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바다물의 광학적 특성이 있습니다. 바다물은 빛을 흡수하는 물질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란색의 빛은 물질에 의해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바다물은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녹색의 빛은 물질에 의해 쉽게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바다물은 녹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바다물의 색은 지역의 지형과 해양 유동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바다물은 지형의 변화나 해류에 따라 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반도 주변의 바다는 지형이 복잡하고 해류가 강하기 때문에 바다물의 색이 다양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각 지역의 바다물의 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해양 조건: 바다물의 색은 주로 해양 조건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해양 조류의 존재와 해양 식물의 생물학적 활동은 바다물의 색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현미경으로 보면 해양 식물인 조류가 있는 바다는 녹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해양 조건에 따라 형성된 부유 물질이나 해양 미생물의 존재도 색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석류와 모래: 바다물의 색은 석류와 모래의 색상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석류는 바닷물에 들어있는 미세한 부유 물질로, 갈색이나 황갈색일 수 있습니다. 또한, 바다 바닥의 모래의 색상도 바다물의 색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사장이 있는 지역은 흰 모래로 인해 바다물이 더 청명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