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찜질은 어떨떄 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온찜질과 냄찜질이 있는데 각각 어떤 상황에서 하는 것일까요?? 예를 들어 다리를 삐었습니다 이러할경우 바로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냉인가요 온인가요?? 이유눈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냉찜질은 염좌,타박상 등 급성 부상 직후 48시간 이내에 적용해 붓기와 염증, 통증을 줄이기 위해 사용합니다.
온찜질은 근육통, 만성통증, 혈액순환 개선이 목적이고 부상 직후에는 피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리를 삐었을 땐 초기엔 냉찜질로 부종과 염증을 가라 앉히는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온열찜질은 만성 염증을 줄여주고 근육을 이완시켜주며 혈액순환을 촉진해서 조직의 회복력을 높여줍니다.
냉찜질은 염증을 줄이고 부종을 줄여줍니다. 근육을 이완시켜주는 효과는 온찜질과 같지만 혈액순환을 낮춰수 조직의 회복력을 더디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염증과 부종을 조절한다는 효과때문에 발목이 삐는 인대 염좌에서 초기에 무조건 냉찜질을 해라 이렇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건 옛날 개념이겠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면 gabe mirkin 박사가 처음로 냉찜질을 논문으로 명시화했습니다. RICE에 I가 Ice 즉, 냉찜질입니다.
그런데 2014년에 같은 박사가 그게 아니더라 오히려 냉찜질이 insulin like growth factor-1을 억제하고 혈액순환을 떨어트려서 조직의 회복력이 더뎌지더라 그래서 염증과 부종이 매우 심한 경우에만 냉찜질을 적용해라 라고 다시 논문을 발표하게됩니다.
워낙 널리 퍼졌던 치료방법이라서 개정 논문이 나왔음에도 아직 많이 바뀌지 않은것 같습니다.
부종과 염증이 매우 심한 상태에서는 냉찜질, 그게 아니라면 온찜질 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온찜질과 냉찜질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냉찜질의 혈관을 수축 시켜 멍, 붓기를 감소시키고 염증의 증가를 막으며 통증을 줄여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발목을 삐거나 타박상 등 급성 시 염증이 있을 때 냉찜질을 하셔야 합니다.
온찜질은 혈관을 확장하며 혈액순환을 촉진 시켜 몸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며 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을 줄여주며 상처를 빠르게 치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퇴행성관절염 등 만성기 근골격계 질환 이나 근육통이 있을 때 온찜질을 하셔야 합니다.
다리를 삐였을 때는 연부인대 손상이나 염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냉찜질을 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급성기에 심하게 붓고 열감이 있으면 냉찜질, 그렇지 않거나 하루정도 이후에는 온찜질을 합니다.
냉찜질 원리는 혈관수축 및 염증 완화, 조직 온도를 낮춰 부종감소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일단은 예를 드신 것을 바탕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최근에는 급성 손상시에 무조건 냉찜질을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부상 부위의 상태에 따라서 냉온에 대한 부분이 달라집니다. 예전에는 급성기에는 (48시간 이내를 기준) 냉찜질이 효과적이다라고 했지만 최근에는 부종이나 붓기가 없을 시에는 온찜질을 해주셔도 괜찮습니다. 부종이나 붓기가 있을 때 냉찜질을 하는 이유는 접질을 때 미세혈관들도 같이 다치면서 멍치 들거나 붓기가 생기실 수 있는데 이 때 온찜질을 하면 혈관이 확장되고 붓기나 멍이 더 커지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냉찜질을 해서 붓기와 부종을 최소화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으실 때에는 온찜질을 해서 진정 효과와 더불어 진통효과를 유도하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냉찜질은 열감이 있거나 붓기가 있을때 사용합니다 간략한 원리는 몸이 상처가 나고 회복하는 과정에서 염증 반응 , 붓기 반응들이 나오면서 회복되는데 이 과정을 빠르게넘어가게해주며 회복 촉진이 되며 온찜질은 이완 및 순환 목적으로 생각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예를들어 오늘 허리를 많이 쓰거나 다리를 많이 썼으면 온찜질로 해주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