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횡령사고가 발생한 금액 중 환수가 안된 것은 어떻게 해결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은행권에서 횡령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듯 한데요.
규모가 적게는 몇억 많게는 몇백억 단위로 발생합니다.
문제는 도박이나 선물투자로 날린 사람들도 많아서 환수가 어려울듯한데요.
그런 경우에는 은행들은 해당 손실을 알아서 매꾸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권에서 발생한 범죄 횡령금액 중 환수(회수)율은 10%도 안된다고 하는데요. 대부분 말씀해주신 것처럼 이미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손실처리를 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이든 다른 업종의 회사든 횡령 사고가 발생하여 100% 회수가 되지 않을 경우 남은 금액은 손실 처리를 하게 됩니다. 은행의 경우 말씀하신 대로 잊을만하면 횡령 사고가 발생하는데 상당 부분 100% 회수가 어려워 영업외 손실로 처리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에서 발생한 횡령 사고는 일반적으로 보험이나 내부 충당금으로 일부 보전되지만, 손실이 크면 주주나 자본금으로 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도박이나 선물투자 등으로 인한 손실은 환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돌려받을 수 없는 자금들은 손실 처리를 하게 됩니다
은행은 대출을 내어주고 돌려받지 못했을 때도 최종적으로 손해를 처리하게 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횡령사고로 인한 손실도 은행 내부 회계에서 손실로 처리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손실을 알아서 메꾼다는 표현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영업이익에서 빠지게 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횡령 사고가 발생하면 최대한 환수를 하지만 횡령액을 날린 경우 환수가 어려울 수가 있습니다.
만약 이럴 경우 은행이 손실을 감수하게 되는데 이는 은행 재무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고객들과 주주들에게 신뢰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내부 회계 등을 강화하고 강력한 통제 시스템으로 관리될 수 있어야 횡령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권에서 횡령사고가 발생하면 환수한 것은 어떻게 해결한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횡령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횡령한 범인의 집 등을 압수 수색하게 되고
거기서 나오는 돈을 압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환수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