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세포분열에 필요한 방추사는 언제 합성하나요?

안녕하세요. 체세포분열이 일어날 때 염색분체의 동원체 위치에 방추사가 결합하고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면서 양극으로 이동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방추사는 어느 시기에서 합성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해주신 세포분열에서 방추사는 염색체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데 필수적인 구조인데요, 방추사란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α-튜불린과 β-튜불린 단백질이 중합되어 형성됩니다. 세포 분열 동안 중심체에서 방추사가 방출되어 염색체의 동원체와 연결됩니다. 우선 간기는 세포가 분열 준비를 하는 시기인데요, 미세소관 단백질인 α/β-튜불린은 지속적으로 세포질에서 합성되며 즉 방추사를 구성할 재료는 이미 간기 동안 충분히 준비되는 것입니다. 전기에는 핵막이 분해되기 전인데요, 중심체가 분리되면서 방추사가 형성되기 시작됩니다. 실제로 미세소관의 중합과 역동적 성장이 이 시점부터 활발하게 나타납니다. 감사합니다.

  • 세포 분열에 필요한 방추사는 간기의 G2기와 전기 초반에 주로 합성됩니다. G1기에서 S기를 거치며 DNA가 복제된 후, G2기에는 세포 분열에 필요한 단백질과 세포 소기관을 합성하며, 이 시기에 방추사의 주성분인 미세소관이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이후 전기에는 중심체가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미세소관이 더 많이 형성되어 방추사를 완성하게 됩니다.

  • 방추사는 세포주기 중 G2기와 M기(전기)에 걸쳐 합성됩니다.

    방추사는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진 섬유다발로, 세포 분열 시 염색체를 양극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세포분열 준비 단계인 G2기에 방추사의 주요 구성 요소인 미세소관 단백질인 튜불린이 합성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세포 분열이 시작되는 전기에, 세포 양극에 위치한 중심체에서 방추사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는데, 이 방추사들은 염색체에 있는 동원체에 부착하여 염색체를 배열하고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