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찌그러진곤뇽
찌그러진곤뇽

수술한 뒤에 상처에서 이런게 나왔는데 뭔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17

쇄골 다쳐서 수술 했는데 딱지가 계속 생기는 부위에서 나온 겁니다. 실같긴한데 상처는 꽤 많이 아물어서요 실이 녹지 않고 있는걸까요 아님 원래 있는건가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으로는 정확히 어떤 것인지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상처 부위에서 떨어져 나온거라면 각질이나 상처가 아물며 생긴 딱지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일부러 각질이나 상처를 잡아 뜯거나 하지는 않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라도 상처 부위에 통증이나 출혈등이 발생하거나 하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으로 많은걸확인할수는없지만 상처부위에서 떨어져나온거라면 각질이나 상처가아물면서생긴 딱지일수있습니다 상처가 잘아울고있다면 지금의 상태를잘유지하는것이좋고 완전하게 회복될때까지는 너무강한 자극이가지않도록 주의하는것이 좋습니다

    만약 통증이나 불편감이생긴다면 병원에서 진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이라 정확히 어떤 물체인지는 잘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실밥 빼러 오시는분들을 종종 뵙는데, 그때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피부 끝에 각질같은게 나온게 아닐까 의심이 됩니다. 수술이 잘되셨고, 크게 기능적으로 문제 없으시면 다른 문제라기보다는 그냥 피부 각질이 같이 나온것으로 보입니다. 손으로 뜯어보았을때 그냥 잘 뜯어지면 실은 아니고 피부에서 나오는 각질이나 껍질일 수 있을거같습니다. 실밥 빼러 오시는 분들 보면 종종 유사하게 각질이 많이 나왔었습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요즘 날이 추워 담이 걸리거나 근육통이 많아지는 계절이라 특히 몸 따뜻하게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수술 후 상처에서 딱지가 계속 생기는 경우 녹는 실이 제대로 녹지 않았거나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녹는 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경우에 따라 더 오래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사어가 많이 아물었다면 남아있는 실이 염증이나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쇄골 수술 후 상처가 있는 딱지에서 위에 사진이 나오는 경우는 수술 할 때 사용된 봉합사가 자연스럽게 흡수되거나 녹지 않아 피부표면으로 나온것으로 보이며, 보통 시간이 지나면 떨어져 나가서 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아직까지 상처가 완전히 아물지 않았다면, 해당부위를 너무 건드리지 않는것이 좋고 만약 통증이나 붓기, 붉어지는 경우가 계속 생긴다면 감염일 수 있어 이땐 꼭 다시 병원에 방문하시는것이 좋습니다.

    결론 - 너무 걱정하실정도에 문제는 아니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 위에증상이 나타난다면 꼭 병원에 방문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피부로 생각되는데요,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딱지가 떨어져 나오며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크게 걱정안하셔도 될거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손상조직의 회복 과정에서 생긴 부산물이 경화되었거나 죽은 피부 조직이 탈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딱지가 생기는 부분에 염증 반응이나 발열 발적 등이 생긴다면 다시 병원에 내원하셔서 적절한 조치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보여주신 사진만으로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병변 부위를 봐야만 할 것 같습니다

    조금씩 이리저리 살펴보면 될 겁니다.

    근처 아무 병원에나 가서 봐달라고 하시면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